예송논쟁은 보통 상복을 가지고 벌인 서인과 남인의 무의미한 정치싸움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것이 가지고 있는 당대적 의미는 결코 작지 않았다. 그리고 그 중심에 송시열이 있었다.

예송은 크게 기해예송(1659, 현종 즉위년)과 갑인예송(1674, 현종 15년)으로 나뉜다. 우선 기해예송은 효종이 죽자 효종의 계모후였던 장열왕후가 아들을 위해 어떠한 상복을 입을 것인지를 놓고 벌어진 논쟁을 말한다. 송시열은 기년(1년)설을 주장했고, 윤휴는 참최삼년설, 허목은 자최삼년설을 각각 주장했다. 그들의 주장에는 효종과 왕권, 나아가 가족질서를 어떻게 바라보는가 하는 문제들이 광범위하게 담겨있었다.

예송논쟁이 발생했던 것은 인조의 장자였던 소현세자가 의문의 죽음을 당하면서 왕위를 계승하지 못하고 차자 봉림대군이 즉위한 데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 장자 소현세자와 차자 효종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를 놓고 서인과 남인의 인식차가 발생했다. 송시열은 보편적 가족질서를 중시하고 장자였던 소현세자를 인정해 효종을 차자로 보는 기년설을 채택했다. 반면에 윤휴는 장열왕후 또한 신하로서 참최삼년설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허목은 모자의 친속관계를 반영한 자최를 주장했다.

일단 기해예송은 정태화의 중재로 장자·차자 할 것 없이 기년복을 입는 <경국대전>을 좇는 것으로 마무리됐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송시열의 기년설이 채택됐던 것이고, 송시열 측도 이를 자신들의 승리로 여겼다. 이러한 인식은 1674년 효종비 인선왕후가 죽자 장열왕후가 며느리를 위해 어떠한 상복을 입을 것인지를 놓고 벌어진 갑인예송에서 잘 나타났다. 서인 측은 효종을 차자로 본 기해년 송시열의 의견에 따라 대공(大功, 9개월)복을 주장하였다. 이후 기해년 복제가 <경국대전>이 아니라 효종을 차자로 본 송시열의 기년설을 좇은 사실이 드러나며 송시열 측은 곤경에 빠졌다. 남인들은 송시열의 기년설이 ‘이종비주(貳宗卑主: 종통을 둘로 하고 임금을 비하했다)’의 설이라고 비판했고 왕실도 이에 수긍했다. 이는 서인과 남인의 정권교체로까지 이어졌고, 송시열은 유배의 길에 올라야 했다.

예송논쟁이 가져다 준 정치적 파급은 실로 엄청났다. 갑인예송을 거치면서 위협을 느낀 송시열은 남인들을 반주자학파로 공격하기 시작했다. 송시열이 주자서 연구를 통해 주자절대화 경향을 갖게 되었던 것은 갑인예송에서 패퇴한 뒤 유배되면서부터였다. 그는 자신이 실패한 이유가 주자학이 세상에 밝게 드러나지 못해 윤휴와 같은 인물들이 등장했다고 인식하고, 이후 <주자대전>의 주석서 연구에 심혈을 기울였다. 이를 통해 그의 주자절대화 경향이 형성되었다. 송시열은 주자학을 절대시하면서 자신이 이해한 주자학에서 벗어나는 사유들을 이단으로 공격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신과 뜻이 맞지 않는 남인 계열 세력들을 대거로 숙청했다.

결국 남인과 극렬하게 대립할 수밖에 없었고, 심지어 자신이 속해있었던 서인 안에서조차 분열이 이루어져 노론과 소론으로 나뉘게 된다. 그 후 붕당정치는 일당전제화 경향을 보이며 백성들의 정치에 대한 관심은 점점 희미해지게 된다.

조성산
성균관대 교수· 조선후기사

<우암 송시열에 대한 엇갈리는 평가>
강직한 개혁정치가 vs 당파 이익중시한 사대부

#1. 송시열은 개혁정치가다.
송시열은 ‘송자’로 불리며 유교국가인 조선에서 최고의 성현으로 추앙받았다. 그는 청에 굴복한 조선이 패배의식에 젖어있는 상황을 극복하고자 의식개혁의 일환으로 북벌론을 주창했다. 당국자마저 인순(因循) 고식(姑息)이나 체념적 순응의 삶에 기울어져 있을 때 마땅히 지향하고 추구할 가치의 향방을 제시하고 추진한 것이다. 또한 그는 정치·경제적 개혁으로 대동법, 향촌안정책, 노비종모법 등을 강력하게 추진했다. 그의 영향력이 이후 200여년간 지속됐다는 사실은 “백성이 국가의 근본”이라는 유학정신에 기반한 그의 개혁성이 폭넓은 지지를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2. 송시열에게 중요한 것은 결국 사대부의 이익이었다
이덕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소장을 위시한 비판론자들은 송시열이 이미 조선에서 그 기능을 다한 주자학을 정치에 어긋나게 적용해 조선사회의 비극을 잉태했으며, 이는 시대착오적인 소중화사상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한다. 그들에 따르면 당시 시대의 변화 속에서 그가 중요시 여긴 것은 사대부라는 계급의 이익이었고, 서인·노론이라는 당의 이익이었다. 이를 위해 농민과 여성들은 억압받아야 했고, 심지어 송시열은 본관이 다르더라도 동성(同姓) 간에는 결혼을 금지시키기도 했다. 결국 그의 당인 노론은 조선이 망할 때까지 정권을 잡았으나 이는 백성들의 나라가 아니라 그들의 나라에 불과했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