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는 다른 6개 대학 학보사와 연합, 학생들의 정치의식 및 주요 정치 · 사회 현안에 대한 인식조사를 진행했다.

일러스트 정서영


▲진보성향 대학생, 정말 진보?
7개 대학 학생들이 생각하는 자신의 이념성향은 △보수 35.1% △중도 23.2% △진보 33.5% 로 고른 분포를 나타냈다. 자신이 보수라 답한 학생들의 답은 성향과 일정한 연관이 있었다. 하지만 사회 현안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들에 스스로 진보라 밝힌 학생들은 그 성향과는 괴리된 답을 내놓았다.

‘바람직한 국가보안법 처리형태’에 관한 질문에서 진보 성향이라 답한 학생 가운데 46.3%가 국가보안법 유지의 입장을 보여 폐지를 주장한 43.6%보다 많았다. 이에 반해 보수적 성향이라 답한 학생들은 70.2%가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에 손을 들었다.

또 ‘향후 한미공조체제 강화에 대한 찬반’에서 진보적 성향 학생의 55.3%가 찬성했다. ‘한미 FTA에 대한 찬반’ 역시 진보적 성향이라고 답한 학생 가운데 찬성하는 학생(47.7%)이 반대하는 학생(45%)보다 많았다. 이처럼 자신을 진보적 성향이라 밝힌 학생 중 상당수가 각종 사회 현안에 대해 보수계가 견지해온 입장을 따랐다.

결과에 대해 본교 최장집(정경대 정치외교학과)교수는 “한국사회에선 진보와 보수를 구분할 기준이 불명확하다”며 “때문에 진보가 보수가 될 수도 있고 보수가 진보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대학생이 보수화되고 있다는 분석에 대해선 “대학생들의 보수화가 이번 설문결과의 원인 중 하나라 추측할 수는 있겠지만 좀 더 전문적인 연구결과가 없어 확신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옅어진 지역감정
7개 대학 학생들은 출신 지역이 정치적 성향을 결정한다는 기성사회의 통념과는 다르게 지역색이 드러나지 않았다. 지역별 한나라당의 지지도가 △서울 45.8% △대전/충청 42.5% △광주/전라 41.4% △대구/경북 39.6%로 나타난 것은 이를 뒷받침 한다.

대북포용정책에 대한 출신 지역별 찬성 비율은 △서울 61.2% △인천/경기 58.5% △대전/충청 63.8% △광주/전라 71.4% △대구/경북 72.7% △부산/울산/경남 64.5% △강원/제주 74.1%로 특별한 지역별 특징을 찾을 수 없었다.

또 국가보안법에 대해 지역색이 보수에 가깝다는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36.4%가 폐지 입장을 밝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처럼 사회 현안에 대해 판단을 내리는데 출신 지역은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최 교수는 “지역감정은 이데올로기적 담론”이라며 “지역감정은 사회현안을 바라보는 복합적 요인 중 하나일 뿐”이라고 말해 지역감정은 대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시사했다.

▲소득격차에 따른 차이
이번 설문조사결과, 스스로 생각하는 이념성향 또는 출신 지역은 사회 현안에 대한 생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월평균가구소득을 기준으로 한 소득격차에선 주로 저소득층이 진보적 성향을, 고소득층이 보수적 성향을 드러내 차이가 뚜렷했다.

특히 ‘한미 FTA’에 대해 월평균가구소득 ‘300만원 이하’ 계층은 48.6%가 찬성한 반면 ‘500만원 이상’ 계층은 64.1%가 찬성했다.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문제에 대한 찬반’ 역시 ‘300만원 이하’에서는 72.9% ‘500만원 이상’은 60.9%가 찬성해 차이를 보였다.

또 ‘3불정책에 대한 찬반 조사’에서 본고사와 기여입학제에 대한 찬성은 월소득 500만원 이상 계층이 300만원 이하 계층에 비해 각각 8%, 2% 높았다. 고교등급제 찬성 비율은 △300만원 이하 40.3% △500만원 이상 52.0%로 격차가 컸다.

최장집 교수는 “세계적으로 사회를 인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가장 강력한 것이 소득계층”이라며 “소득계층은 이념성향, 지역감정, 연령 등 다른 요소보다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지닌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