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수강신청날, 많은 경영학과 학생들은 고심끝에 영어 강의를 선택한다. 글로벌 고대의 목표를 내걸고 영어강의의 비중을 50%이상으로 늘려가고 있는 현재의 풍경이다. 학생들 대부분은 영어강의가 학생의 경쟁력 향상 나아가서 학교의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믿고 있다. 하지만 막상 수업시간 중인 강의실 내를 들여다보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해외에서 온 교환학생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수업참여의 대부분을 그들이 차지한다. 혹자는 국내 대학생들도 참여하면 되지 않느냐고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영어를 언어로 배우지 못하고 학문처럼 배운 국내 학생들에게는 어려운 제안임이 분명하다. 대부분의 학생이 영어강의의 중요성은 인지하고 있지만 그 수업속에서 학문적인 지식을 얻지는 못하는 듯하다.학문적 지식은 물론이고 영어실력의 향상을 통해 경쟁력을 길러줘야하는 영어강의가 제역할을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학교를 탓할수도 없다. 그렇다고해서 영어를  못하는 학생들을 탓할수도 없다. 그렇다면 해결책은 없는 것일까.

필자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학생들에게 전공과목의 영어강의를 졸업의 필수요건으로 만든 것은 옳지 않다고 본다. 영어는 언어다. 영어에 익숙하고 영어로 전공과목을 소화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영어강의는 그 개인의 경쟁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나 반대의 경우는 영어, 학문 두가지 모두 놓칠가능성이 크다. 영어를 언어로 가르칠 수 있는 과목 등을 신설해서 개개인의 수준에 맞는 영어학습이 요구되어 진다. 거의 모든 한국 학생들은 영어를 언어로 배우지 못한 채 대학교에 들어왔다. 그러한 상황에서 영어로 말하는 수업을 듣는 것은 문화적 충격이라 하여도 모자람이 없어보인다. 어린이들이 한국말을 배우는 과정을 보면 영어학습의 방법을 유추해낼 수 있다. 계속해서 말하고 궁금해하며 익히지 글을 보고 읽고 단어를 외우며 학습하진 않는다. 따라서 영어강의를 축소하지 않되 학생 개개인의 실력차를 감안한 강의의 개설 및 비중 변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환학생 선발 시 TOEFL성적의 비중을 줄인 것은 참으로 다행이다. 많은 학생들이 영어학습 등의 목적으로 교환학생을 가고자 했으나 영어를 못한다는 이유로 가지 못했었다. 그러나 이제는 그 가능성이 커졌으니 학생들의 능률 또한 커질 듯 하다. 다만 15%의 비중이 실질적으로는 더 클 것 같아 걱정이긴 하지만 학생들의 도전의식을 키워줬다는 면에서 성공적인 선발기준의 변화하고 할 수 있다.

국제화 시대에서 영어를 필수사항이다. 하지만 영어강의가 영어실력을 늘려줄 것 같진 않다. 많은 학생들은 졸업을 하기위한 학점을 이수하기위해 오늘도 영어강의를 듣고 있다. 영어에 대한 두려움만 키워가고 있는 것이다. 언어는 학습한다기보다 습득해야 하는 분야이다. 학생들이 재밌게 영어라는 언어를 습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학생 개개인, 나아가서 학교의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