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과학자들의 올해 노벨상 수상 소식이 다시 우리에게 부러움과 부끄러움을 동시에 불러 일으킨다. 올해 노벨물리학상 공동 수상자 3명은 일본인 2명과 미국 국적의 일본인 1명이고, 노벨화학상 공동 수상자 중 한 명이 일본 국적의 과학자이다. 이 같은 성과는 일본인 특유의 집요한 장인정신과 정부 차원의 꾸준한 과학기술 지원과 연구개발 인력에 대한 우대 때문으로 풀이된다. 일본은 1995년 당시 장기불황속에도 과학기술기본법 제정으로 과학연구예산을 대폭 늘렸고, 지난 2001년에는 ‘50년 안에 노벨상 수상자 30명 정도를 배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에 비해 세계 7대 과학기술강국을 지향한다는 우리나라의 국가 연구개발 예산은 미국과 일본의 10%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 같은 과학기술에 대한 지원부족은 과학기술연구기관의 석·박사 3명 중 1명이 비정규직이고,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초기술연구회 소속 직원 가운데 46.8%가 비정규직인 현실을 낳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인 홀대로 젊고 유능한 이공계 전공자들은 의대·치대·로스쿨 등으로 진로를 바꾸고 있다. 여권조차 없다는 일본인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는  “과학에도 로망을 갖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지만, 우리나라 과학인들에게는 그야말로 낭만적인 말로 들릴 뿐이다.

노벨상이 그 나라 과학기술 수준의 척도는 아니다. 그래도 우리의 현실은 분명히 문제가 있다. 현대 과학 분야의 발전에는 정부의 지원이 절대적인 영향을 끼친다. 어느새 과학기술부는 해체시키고, 이공계 출신 장관이 한 명도 없는 이명박 정부지만, 그래도 과학기술 지원을 위한 장기적인 지원책을 요구해 본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