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는 △경향신문(경향) △동아일보(동아) △조선일보(조선) △중앙일보(중앙) △한겨레신문(한겨레) △한국일보(한국) 등 국내 대표일간지 6개를 선정해 비교 및 분석하는 기획을 준비했습니다. 신문사의 성향과 보도형태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 이 기획의 목적이며, 2009년 1월 1일(목)부터 2월 28일(토)까지 발행된 신문을 대상으로 조사했음을 밝힙니다.

1월 9일(금) 인터넷 논객 ‘미네르바’ 체포
△동아 △중앙 △조선 △한국은 ‘미네르바’가 인터넷에 허위 사실을 유포한 혐의로 체포됐다는 사실을 보도하는 데 집중했다. 반면 경향과 한겨레는 “인터넷 여론 길들이기 MB정부의 코미디”와 “인터넷논객 옥에 티 과잉수사…정부 비판 재갈물리기”라는 기사를 통해 미네르바를 구속한 검찰과 정부를 비판했다. 한국은 “검찰은 요란을 떨고 있고, 이해세력들은 ‘돌팔이 의사의 사기극에 놀아난 대한민국’ ‘입 막기 편파수사’라는 편의적 해석과 허위의식을 덧칠하는 행태를 되풀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1월 15일(목) 한국개발연구원(이하 KDI) 경인운하 사업 보고서
1월 14일(수) 국토해양부와 KDI가 공개한 보고서에 대해 경향<비용 줄이고 편익은 부풀리고 경인운하 ‘경제성 오류’ 드러나>과 한겨레<경인운하 사업성 분석 6개 시나리오 중 절반서 “경제성 없다” 결론>는 1면에 관련기사를 게재하며 경인운하 사업을 비판했다.
동아는 12면 <뚫리는 경인운하… 봇물터진 논란>에서 경인운하를 둘러싼 논란과 국토해양부의 해명을 균형있게 보도했고, △조선 △중앙 △한국은 이 내용을 다루지 않았다.

1월 20일(화) 이명박 정부 인사개편
조선은 ‘위기대응이라는 목적에 맞는 개각’으로, 중앙은 ‘경제팀에 내정된 인사들도 적절한 자격과 경험을 갖춘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경향은 ‘인사난맥의 재연’이라 말했고, 한겨레는 ‘집권 2년차 친위체제’라고 평가했다. 동아와 한국은 내각에 대한 평가보다는 개각으로 인한 기대감에 초점을 맞춰 보도했다.

1월 21일(수) 용산참사
△동아 △조선 △중앙의 보도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세 신문은 용산참사의 전말을 보도하는 데 치중했고, 중앙이 <경찰 “연행자 28명 중 세입자는 7명” … 나머지는 원정 시위대>라는 기사로 한 면을 시작하며 농성자 구성을 문제 삼은 것이 눈에 띈다.
나머지 신문은 경찰의 ‘강경 진압’에 초점을 맞췄다. 경향과 한겨레는 각각 1면에 ‘공안통치 참사’와 ‘토끼몰이 진압 철거민 참사 키웠다’라는 기사를 실었다. 한국은 사설을 통해 사고를 야기한 ‘경찰의 과잉의욕’을 꼬집었다.

1월 31일(토) 연쇄 살인범 강씨 사건
연쇄살인범 강씨 사건은 이날 모든 일간지의 1면과 사설을 장식했다. 강씨의 범행 흔적과 신상에 대한 보도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사설 내용은 달랐다.
경향은 ‘초동수사 미흡’과 ‘공조 수사의 허점’을 지적했고, 동아는 ‘경찰의 부실 수사’와 함께 ‘흉악범 초상권 공개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조선은 ‘경기도 치안에 대한 대책의 필요성’과 ‘사형집행의 필요성’을 간접적으로 드러냈다. 중앙과 한국은 ‘CCTV 추가설치’를 통한 ‘치안력 강화’를 요구했고, 한겨레는 ‘범죄 예방을 위한 법률과 사회정책의 필요성’과 ‘사회 환경을 더욱 인간적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의 중요성’을 지적했다.

2월 14일(토) 청와대 이메일 홍보지침 논란
경향은 ‘살인마 홍보로 용산 참사 덮으려 했다니’란 사설을 실었고, 한겨레는 “홍보지침 잡아뗀 청와대의 거짓말이 드러났다”며 “홍보 메일을 행정관 개인행동으로 축소·은폐하는 것도 여전하다”고 꼬집었다. 한국 또한 “청와대의 도덕성과 언론관을 의심케하는,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다”고 비판했다.
△동아 △중앙 △조선은 각각 8면<靑, 홍보지침 내린 행정관 구두경고, 野 “여론조사 지시-보고라인 밝혀야>, 6면<청와대 ‘강호순 사건 홍보 지침’ 행정관에 경고>, 4면<이메일 경찰청 보낸 청와대 행정관 경고>에 관련 기사를 실었으나 사설에서는 따로 다루지 않았다.

2월 17일(화) 전국 초·중등 학업성취도 비교
△동아 △중앙 △조선은 학업성취도가 우수했던 임실 등의 지역을 소개하며 학업성취도 비교의 긍정적인 효과에 집중했다.
반면 경향은 1면<줄세우기·무한경쟁 시작>과 사설<서열화 막을 무슨 대책이 있나>을 통해 학업성취도 평가결과 공개로 인한 파장을 우려했다. 한겨레 또한 ‘성적 오른 곳 지원 학력격차 고착 우려’된다며 “일제고사와 결과 공개, 이번으로 끝내자”고 주장했다.

6개 일간지 무엇이 다르고 비슷했나
소위 ‘조중동’으로 일컬어지는 조선, 중앙, 동아는 보도내용이 비슷한 경우가 많았다. 이는 경향과 한겨레 또한 마찬가지였다. 보수로 대변되는 조중동이 정부 정책이나 경제발전과 관련된 사안에 우호적인 경우 진보로 대변되는 경향한겨레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한국은 사안에 따라 그 사이를 오갔다. 이에 대해 안준영(언론학부05)씨는 “신문이 나름의 입장을 갖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며 “독자들은 자신의 성향에 맞는 신문을 선택해 보면 된다”고 말했다. 한편 심명현(문과대 영문05)씨는 “청와대 이메일 홍보지침 논란과 같이 진보 신문들이 중요하게 다루지만 보수 언론이 침묵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가 적용되는 사안들이 있다”며 “서로 다른 성향의 신문을 비교해서 보면 좀 더 객관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민환(언론학부)교수는 “국내 신문들은 보수와 진보에 상관없이 정파성에 사로잡혀 있다”며 “정파성이 언론의 자유에 포함된다고 하더라도 여론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매체들은 통합적인 자세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상황이 가능한 것은 정파적으로 중립적인 공중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다”며 “독자들도 관점과 이해관계가 다른 사람의 생각에 귀를 기울이는 노력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