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시제도가 또 바뀌려는 모양이다. 본교가 내년도 입시에서 입학사정관제로 정원의 23.5%인 886명을 선발하는 것을 비롯해서 전국 40여개 대학이 2만여명을 사정관제로 선발할 것으로 알려졌다.
4~5년 주기로 달라지는 대학입시제도는 내세우는 좋은 취지에 비해서 좋은 결과를 갖고 오지는 못했다. 드러난 문제점을 고치기 위해 도입한 제도는 또다른 부작용을 낳았고, 입시제도는 해를 넘길수록 복잡해져만 갔다.  

현재 국내 대학가는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논의 정도에 비해서 너무나 갑작스레 도입되고, 확산되는 양상이다. 제도 정착을 위한 대학과 사회, 학부모와 중등학교 간의 신뢰도 모자란다. 실질적으로 입학사정관제를 운영하려는 대학당국들의 제도 이해나 운용 경험도 일천하다. 지난 대입에서도 정원의 일부나마 여러 대학들이 입학사정관제를 운용했다. 하지만, 입학사정관들의 직무범위나 역할, 그들의 공정성과 전문성에 대한 설명은 부족하고, 선발결과에 대한 평가도 제대로 나오지 않았다.

그렇기에 행여 작금의 열풍이 재정지원을 고리로 하는 교육당국의 영향력 내에서 벌어지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렵다. 교육당국의 입장에서는 대학들이 일사불란하게 새 제도를 도입하길 기대하겠지만, 그러한 일들이 좋은 끝맺음을 본 것은 드물다. 학부제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다른 국가정책도 마찬가지이지만, 특히나 교육정책은 정권의 성과물이 되어서는 안된다.

대학들은 입학사정관제로 뽑는 학생수를 강조하기 이전에 올해의 운용실적과 향후의 운용방향을 소상히 밝힐 필요가 있다. 그래서 새로운 제도에 대한 국민의 불안을 해소하고, 믿음을 주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