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죽창이 있다. 아니 죽창으로 이름 지어진 대나무 막대기가 있다. 이에 앞서 무슨 이유에선지 한 자리에 모인 많은 사람들은 ‘동지가 죽었다’, ‘회사가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며 대한통운으로의 행진을 시도했고, 행진 요구는 무슨 이유에선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 사람들은 행진을 강행했고, 경찰은 물대포 등을 이용해 행진을 저지했다. 사람들은 물대포를 견딜 수 없었고, 대나무 막대기를 이용해 자신들을 가로막는 전경들을 뚫고 나아갔다. 몇몇 언론에 매일같이 ‘폭력 집회’, ‘전경의 목숨이 위험했다’는 등의 보도가 이어졌고 정부는 나서서 이들의 집회를 원천 불허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되짚어보자. 이들이 ‘죽창’을 들기 전 물대포 등을 이용한 경찰의 진압은 평화적이었는가? 과연 폭력적이지 않았는가.

그럼 이런 상황이 벌어지기 조금 전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여기 사람이 있다. 아니 얼마 전 죽음을 선택한 한 노동조합의 지부장이 있다. 화물노조의 지부장 자격으로 계약금 건당 30원 인상을 기업 측과 약속했고, 이런 약속을 지켜줄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았다. 하지만 몇 달이 지나 협상을 할 시기가 오자 기업 측은 되려 회사 사정을 이유로 계약금 건당 40원 인하를 결정했고, 이에 항의하는 직원들에겐 모두 손쉽게 ‘해고’란 두 글자가 적힌 문자메시지를 전송했다. 회사의 이런 결정에 분개한 이 사람은 전국을 돌며 자신들의 억울함을 호소했지만 결국 아무것도 되찾지 못한 채 경찰의 체포영장만이 발부됐음을 깨달았다. 이 사람은 결심했다. ‘나’란 사람의 죽음으로 세상에 억울함을 호소하기로. 아무도 그에게 죽으라고 이야기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 사람을 ‘자살’로 내몬 이 사회의 행태는 과연 폭력적인가 폭력적이지 않은가.

정부와 경찰의 집회·시위 규제 강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들은 ‘폭력시위로 인한 국가브랜드가치 손실이 엄청나다’, ‘불법 집회가 경제 성장률을 떨어뜨리고 있다’고 주장하며 각종 집회를 불허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물론 그 논리도 일부는 가까스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묻고 싶다. 과연 노동자들을 ‘폭력적’으로 만든, 한 사람을 죽음으로 내몬 잘못된 경제정책은 도대체 누가 집행한 것인가? ‘진짜’ 폭력은 누가 먼저 시작한 것인가? 눈 가리고 아웅 식의 규제책이 아닌 집회와 시위를 노동자들 스스로 멈출 수 있는 제대로 된 정책을 고민하고 시행해야 한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