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부터 피부질환에는 남들은 모르고 오로지 자신만이 아는 ‘비방’이라는 것이 있었다. 또한 전해 내려오는 민간요법도 많은 편이었다.

한 예로 나환자촌에서 사용되는 약을 만병통치로 생각하여 나환자촌을 방문하여 약제를 구입해서 사용하거나 가벼운 화상을 입었을 경우 감자를 갈아서 바른다든가, 대머리에 검정콩을 먹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그 이유는 아마도 피부질환은 거의 만성병으로 쉽게 치료가 되지 않고 좋아졌다가도 쉽게 재발이 되는 경향이 있으며 약이라는 것은 몸에 좋은 점도 있지만 나쁜 점이 더 많다고 느끼고 있고 자연에서 얻은 것은 무조건 좋다는 생각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되어진다.

그러나 이 것은 매우 위험한 생각으로 자연에서 얻은 많은 약제들로 인하여 오히려 간 독성, 신 독성, 골수억제 등의 부작용이 흔히 발생할 수 있다.

피부과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약제는 항히스타민제인데 피부의 가려움증에 매우 탁월한 효과를 보이지만 사람에 따라 가려움증을 억제시키는 효과 이외에도 졸음이 오고 입이 마르며 약간 어지러운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런 현상은 감기약을 복용했을 때도 경험할 수 있는데 감기약에도 비슷한 성분의 약제가 들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알아야 할 사항으로는  졸음이 온다는 것과 약이 독한 것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이 독하다는 의미는 사용된 약이 인체에 영향을 미쳐 우리 몸의 일부가 손상되고 회복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뜻이지만 항히스타민제에 의한 졸음은 단지 졸립다는 것뿐이지 인체에는 나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근래에는 졸음이 오지 않는 약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가려움증에는 졸음이 오는 약제들이 오히려 좋은 효과를 보여주는 경우가 많으므로 약에 대하여 거부감이나 독하다는 잘못된 생각은 하지 않아도 된다.

또 한가지 피부과에서 많이 사용되는 약제는 부신피질 호르몬제인데 피부에 급성 염증을 보이는 질환 등에서 항히스타민제와 동시에 사용하기도 한다. 이 약제는 피부질환의 아스피린과 같아서 부작용은 있을 수 있지만 잘 사용할 경우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질환의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보여주는 약제이다. 전신질환을 치료 할 경우 매우 많은 양이 장기간 사용되기도 하지만 피부과에서는 질환 및 신체부위에 따라 잘 선택해서 소량을 짧은 기간동안 사용하고 있다.

피부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부신피질호르몬제는 약의 강도에 따라 종류가 아주  많다. 최근에는 면역조절약제가 개발돼  부신피질호르몬제의 사용량은 더욱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이외에도 피부과에서 사용되는 약제로 항진균제를 비롯한 여러 가지가 있지만 새로운 약제들이 개발되어 거의 부작용 없이 사용되고 있다.

피부약이 독하다는 막연한 생각으로 복용을 피하려는 경우가 많은데 피부질환을 치료하지 않았을 경우 그에 따른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후에 경제적으로, 육체적으로 더욱 고통을 받을 수 있고, 특히 아동들에서는 가려움증으로 수면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성격 형성에도 지장을 초래하여 성장후에 주위가 산만해져 공부를 하거나 직업을 선택하는데 있어서도 커다란 장해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항상 막연히 피부약이 두렵다는 생각으로 피하지 말고 적극적인 자세로 질병을 빠른 시간내에 극복하는 것이 훨씬 바람직한 자세라는 것을 알아야한다.

<계영철(의과대 교수·피부과학)>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