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조상윤 기자 chu@
지난달 4일(월), 본교는 한자인증졸업요건(한자인증)을 폐지하고, 단과대 및 학과 자율에 맡기겠다고 발표했다. 한자인증 폐지가 급물살을 타는 이 시점에 김언종(문과대 한문학과) 교수는 ‘통탄을 금치 못 하겠다’며 학교당국의 결정을 강하게 비판했다.

한자인증 단과대·학과 자율화 결정에 왜 반대하나

학교당국의 이번 판단은 어불성설(語不成說)이다. 폐지 또는 존속으로 명확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 일부 단과대는 유지하고 일부 단과대는 폐지한다면 유지하는 단과대 학생들의 불만만 커진다. 한자인증 유지를 결정한 학과일지라도 폐지를 요구하는 학생이 많아지면 결국 폐지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번 사안을 결정하면서 한문학과나 민족문화연구원과는 조금도 논의하지 않았다. 공청회라도 열어 학생과 교수의 의견을 물었어야 했다.

한자인증은 강제성이 크지 않나. 한자가 필요 없는 학과도 있을 수 있다

학과를 불문하고 얻을 수 있는 이득이 많다. 요즘 손자병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기업이나 CEO들도 특강을 듣고 싶어 한다. 하지만 손자병법은 동양지혜의 일부분에 불과하다. 한자 문화권 지혜의 핵심을 알기 위해서는 한자를 알아야한다.

배움에는 어느 정도의 구속력이 필요하다. ‘가르칠 교(敎)’는 몽둥이로 때려 가르친다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공부는 위기지학(爲己之學)이다. 자격증을 따기 위해, 스펙을 쌓기 위해 하는 공부는 옳지 않다. 졸업요건 충족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은 게으르고 나태한 극소수라고 본다.

한자인증 폐지로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한자인증은 우리말을 바로 알자는 것이지 사서삼경 같은 한문교육을 시키자는 게 아니다. 한자는 우리말의 기본요건이다. 요즘 학생들은 한자를 모르는 것에 대한 부끄러움이 없다. 한자 실력이 계속해서 줄기만 하면 정상적인 국어교육이 어려워진다. 한국어의 의미를 모르는 상황이 발생할지도 모른다. 한국어 사전등재 단어의 70% 정도가 다 한자어다. 한자인증 폐지를 반대하는 게 당랑거철(螳螂拒轍)이라는 걸 알고 있지만, 이 문제를 가볍게 생각하지 않았으면 한다.

지금 상황에서 대안을 찾자면

생활한자 과목을 필수과목으로 정하는 게 한 방법이다. 교재도 좀 더 흥미롭게 바꾼다면 한자인증보다 압박과 부담이 적을 것이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