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적절한 노출과 정확한 포커스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 두가지 중에 한가지라도 부족하다면 사진은 흐리멍덩한 화면일 뿐이다.

오늘 얘기하고자 하는 것은 포커스이다.

우리가 사진을 찍게되면 우리가 나타내고자 한 피사체 이외에도 사각의 프레임 안에 보이는 모든 것이 기록되도록 되어있다.

한데 이 많은 피사체 중에 작자가 무엇을 더 강조하고자 하는가, 부각시키고 있는 피사체를 사진을 통해 정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정확한 포커싱이 필요한 것이다.

디지털카메라가 초점을 측정하는 방식은 대부분 콘트라스트 검출방식을 사용한다. 콘트라스트 검출방식이란, 명암대비가 분명한 곳을 찾아 그곳이 콘트라스트가 분명해지는 순간까지 렌즈가 전후로 움직이며 초점을 잡고, 분명해지는 순간을 초점으로 여기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여러 문제가 있다. 명암대비가 분명한곳 앞에 인물을 세워놓고 찍는 경우, 디카는 배경에 초점을 맞춰버린다. 사람의 얼굴은 매우 밋밋한 편이기 때문이다. 또 인물이 배경보다 어두울 경우 거의 대부분의 카메라가 배경에 초점을 맞추곤 한다. 이러한 포커스의 문제들은 촬영 후LCD에서는 확인하기 어렵고, 나중에 집에 가서 PC로 확인하면 실망하는 경우가 많다. 디카기종에 따라서는 Focus Assist Beam이라는 빛을 발광하여 포커스에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유효거리가 짧아 근본적인 대책은 아니다.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디카는 여러 방법으로 포커스를 구현하도록 하고있다.

디카에서 제공하는 포커스장치는 대략 3가지이다.
 
인공지능 초점장치

메이커별로 부르는 이름이 다르지만, 디카의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포커스를 맞추는 방법이다. 구도를 잡고 하프릴리즈(흔히 반셔터라 부른다)하게되면 포커스가 맞은 지점을 LCD상에 표시해 준다. 하지만, 컴퓨터로 처리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곳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도 있으므로 꼭 확인하고서 실제 촬영을 해야하며, 특이한 구도의 경우 엉뚱한 곳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많다.

디카마다 다르지만, 3점식이 가장 많이 쓰이고 9점식, 5점식등이 쓰이기도 한다.

3점식 : 화면을 3등분(좌, 중, 우)로 나누어 측정
5점식 : 화면을5등분(상,하,좌,우,중앙)으로 나누어 측정
9점식 : 화면을 9등분(상좌, 상중, 상우, 중좌, 중중, 중우, 하좌, 하중, 하우)하여 측정
 
중심측정 초점장치

중심측정방식은 화면의 중앙의 피사체에만 초점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하프 릴리즈로 초점을 맞춘 후에 하프릴리즈 상태에서 다시 구도를 잡아야하는 방식이지만, 한번만 초점을 잡으면 되므로 오히려 편리한 기능이다. 접사 시에는 초점측정 후 구도를 잡으면 원하는 피사체의 초점이 벗어나기 쉬우므로 접사 시에는 피하는 것이 좋다.

휴대가 용이한 초소형 디카에서는 대부분 지원되지 않으나, 상위기종에서는 대부분 지원한다. 피사체가 너무 어둡거나, 흐릿한 경우(예를 들어 피부), 혹은 백색의 벽이나 검정 색의 벽 등은 디카로 초점잡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피사체가 여러 겹으로 겹쳐 전경(피사체 앞의 물체, 피사체 뒤의 물체는 배경)과 피사체사이에서 자동초점이 안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사용하는 방식이 수동초점방식이다.
 
수동측정 초점장치

수동초점방식은 버튼을 눌러 한 단계씩 거리를 줄여가거나 늘려가며 화면상에서 초점이 맞을 때까지 맞춰야 한다. LCD상에서 초점이 맞아 보이기는 하나, 실제 PC에서 확인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자동초점이 안 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