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개원한 19대 국회의 첫 번째 국정감사가 끝났다. 대선국면에 맞물려 국정감사에 대한 언론의 주목도는 예년보다 떨어졌지만, 그래도 적지 않은 사건이 있었다. 전 세계적으로 벌어진 라면 회수소동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의무소신 행정과 전문성 결여 그리고, 초선의원의 섣부른 지적과 과잉 비판이 빚은 해프닝으로 마무리되는 양상이다. 대선후보인 안철수 교수에 대한 서울대의 논문 연구부정행위 의혹에 대한 예비조사 결정은 논문의혹 심사의절차를 뒤흔든 국정감사자장의 요구에 따른 결과였다. 심지어는 귀순한 북한군인에게 라면을 끓여주었다는 것을 비판한 국회의원에게 현실과 정서를 모른다며 네티즌의 반발과야유가 터져 나오는 상황도 연출됐다.

국정감사는 민주화의 성과로 1988년부터 재개되면서 국회가 국정 전반에 관한 조사를 하면서 입법 기능 외에도 정부를 감시 비판하는 기능을 가진 국회의 권능을 상징하는 절차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국정감사가 행정부 견제와 국민권익 증진보다는 피감기관에 억압과 호통을 쏟아놓고, 자신의 말 한마디가 언론에 주목받기를 바라는 국회의원의 선전장으로 변질되기도 한다. 더욱이 지금과 같은 대선국면에선 상대 후보를 공격하는 기회의 장으로 전락하는 일이 빈발하였다.

하지만, 이제 피감기관 뿐만 아니라 그 소속의 구성원들, 국정감사를 바라보는 국민의 수준도 높아졌다. 평소에 관심이 없다가 몇 년치 자료를 한꺼번에 달라고 하는 국회의원, 무조건 소리만 지르는 국회의원을 보면 국민은 그의 수준과 생각을 판단할 수 있다. 국정감사의전 과정이 언론에 등장하기 이전에 인터넷과모바일로 감사현장을 속속들이 올라오는 시대이다. 그 기록은 지워지지 않고 세상에 남는다. 국정감사를 마친 지금은 감사장에서 비친 자신을 국회의원이 돌아봐야 할 시간이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