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차기 대통령이 되기 위한 경쟁이 달아오르면서 후보들이 내놓는 공약도 날마다 늘어가고 있다. 그들이 말하는 과정과 수단은 달라도 이 나라를 더 행복하게 만들겠다는 약속은 비슷해 보인다. 하지만, 대선후보들 앞에는 핑크빛 전망으로는 풀 수 없는 난제들이 쌓여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3000조 원 정도로 추정되는 국가부채이다. 이 규모는 우리나라 GDP의 230% 수준으로 남유럽의 경제위기나 일본과 미국의 재정부채가 남의 이야기가 아닌 수준이다. 이미 1000조 원이 넘는 가계부채는 한국 미래를 흔들 시한폭탄으로 인정받고 있고, 기업부채도 증가해 국내 상장기업 중 영업활동으로 이자를 갚기 어려운 한계기업이 18%를 상회한다. 이는 지난 2년 사이 30%가 늘어난 것이다. 재정부채 또한 급증하는 가운데 공기업부채는 463조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가히 정부와 기업, 가계 등 경제 3주체 중 미래를 위한 힘을 남겨둔 곳은 없고, 오로지 빚만을 쌓아두는 형국이다.

현재 세 명의 주요한 대선후보들은 가계문제를 비롯해 국가부채에 대한 공약을 제시하고 있지만, 대부분 피상적이고 단기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가부채 문제에 대해 선제적이고 중장기적인 대응책을 주문하지만, 이미 수 십 명의 전문가들이 수 개월간 머리를 맞대고도 해결책을 찾지 못한 것이 국가부채이다. 이 문제에 대해 선거운동에 바쁜 대선캠프에서 묘책을 내놓으라는 것은 무리한 요구일 것이다.
그렇지만 적어도 우리나라가 당면한 문제에 대해 솔직하게 고백하고 해법을 찾기위해 노력하겠다는 용기를 대선후보들은 보여야 한다. 있지도 않은 돈으로 국민의 기대를 복돋우는 것보다 맞닥뜨린 ‘빚’의 문제를 공론화하고, 국가적인 해결책을 찾는 게 국정의 책임자가 해야할 역할일 것이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