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T와 LCD의 세대교체
‘진공관 19인치 1호 제품’이라는 뜻의 우리나라 최초의 양산형 흑백 TV ‘VD-191’이 1966년 8월 출시됐다. 1897년 칼 브라운 박사가 음극선관(CRT)을 발명하며 진공관 디스플레이의 초석을 놓은 지 70여 년이 지나서다. 출고가는 6만 8350원으로 당시 대졸 신입사원 월급이 1만 5000원 가량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매우 비쌌지만, 출시 후 열흘간 신청된 물량이 1차 공급량의 14배에 달할 정도로 수요가 많았다.

1998년 8월 대우통신이 출시한 ‘디노’는 LCD 모니터를 본체에 장착한 국내 최초의 일체형 LCD PC로, 출고가는 약 200만 원이었다. 브라운관 모니터보다 절전효과가 향상된 LCD 디스플레이는 2000년대에 들어서며 점차 브라운관 모니터를 대체했다. 이런 추세는 계속 이어져 2005년 LCD모니터의 출하량이 CRT모니터 출하량을 최초로 앞질렀다.

크기는 커졌지만 경제성은 아직
소니가 2007년 12월 1일 세계 최초의 OLED TV인 11인치 소형TV ‘XEL-1’을 출시했다. 선주문 물량이 1시간 만에 품절될 정도로 인기였던 이 모델은 2010년 2월 생산 중단까지 약 1만 대의 판매고를 올렸다. 하지만 대형화와 양산성 확보의 실패로 20만 엔(약 200만원)의 고가로 출시됐다.

6년 뒤 LG전자는 55인치 OLED TV를 출시했다. OLED TV 출시로는 세계에서 두 번째, 대형 OLED TV로는 세계 최초였다. 응답속도가 빠르고 잔상이 남지 않는 장점을 갖췄지만 디스플레이 사이즈의 확대에 따른 생산비용의 증가로 가격경쟁력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는다.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경쟁 가속화
2012년 12월 4일 출시된 아이폰5는 326ppi(인치당화소수)와 1136×640의 해상도를 구현한 4형 레티나(Retina) 디스플레이를 탑재했다. 이전 모델인 아이폰4S보다 픽셀 수가 18% 많아지고 채도가 44% 향상됐다. 하지만 명암비는 여전히 일반 LCD 수준인 800:1 정도다.

14일 첫 선을 보인 갤럭시S4에는 441ppi와 1920×1080 고해상도의 5인치 풀 HD 수퍼 아몰레드 디스플레이가 적용됐다. 스마트폰에 풀 HD AMOLED 디스플레이가 자리한 것은 이 모델이 처음이다. 소자 배열 구조를 다이아몬드 방식으로 변경해 명암비에서 아이폰5에 우위를 점했다. 그러나 고급 디스플레이 탑재로 생산비가 증가해 가격경쟁력에서는 다소 밀린다는 단점이 있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