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창하지 않지만, 거창한 변화의 묘함이다. 연말에 바뀐 총학생회가 임기 반년을 채웠고 올 지방선거로 지역구 의원이 바뀌었다. 당연한 걸까. 시기상 다룰 것으로 예상된 아이템이 주를 이뤘다. 다만, 구성된 기사의 정보는 현실의 공기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고 다른 주제의 아이템은 보이지 않았다.

  변화의 기로에서 한 학기동안의 평가와 다가올 변화에 대한 분석이 제시됐다. 총학 평가를 1면으로 내세우고 지방선거 특집면을 따로 꾸렸다. 이어 선거사무원 제도에서 발견된 모순과 청년에게 선거출마 장벽이 되는 선거 관련법을 분석했다. 유기적인 기획이었다. 하지만 다른 주제의 기획은 눈에 띄지 않았다. <사람들>면에서 등장하는 학교 인근 폐업 예정 음식점 사장의 인터뷰를 제외하곤 참신하지 않거나 읽을 이유를 찾지 못했다.

  평가는 부실했고 지적은 빈약했다. <총학 기사> 평가 방식은 그저 단순했다. 학부생 혹은 학생회 임원의 멘트로 평가를 끝마칠 뿐이었다. 총학의 공약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은 아닌지, 방향성은 옳은지 등 입체적인 취재 내용은 없었다. 과거 총학과의 차별점도 제시되지 않았다. 서울 총학의 교육권 부분은 의제부터 크게 과거와 차별화된 것이 없고, 자치법제 기구 상설화 무산 역시 재현된 사안이었다. 세종 총학에 대한 평가는 ‘성과는 없었다’고 늘 지적만 할 뿐, 공약 자체의 실현 가능성 여부에 대한 검증은 없었다.

  평가 내용은 수동적이었다. 입학금 단계적 폐지는 17년 11월 28일 교육부·사립대·대학생 논의 테이블에서 이미 결정된 사안임에도, 총학의 자평을 그대로 따랐다. 자치법제 특위의 구성 데드라인도 제시하지 않았고, 드롭제도 이슈는 학교 측의 행정력 부족이란 답변을 들었다며 나중에 논의하겠다는데도 총학 측의 태도를 그대로 적을 뿐이었다. 특집면 <선거사무원 기사>에선 근로기준법 적용을 받아야한다면서도 특별규정 도입에 대한 분석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선거법과 근로기준법의 모순된 상황에서 개선 방향은 모호해졌다. <청년 정치 진입장벽> 기사는 ‘정치적 안전망’이라는 추상적 어휘로, 학술면 <번역> 기사는 AI 기계번역 단락으로 마무리할 뿐 구체적 접근은 이뤄지지 않았다.

  18년 1학기 편집국의 마지막 신문이었다. 곧 고대신문 내부 운영방식과 구성원의 변화가 이뤄질 것을 의미한다. 예년에도 그랬고, 내년에도 그럴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꾸준했다. K교수 징계를 촉구하는 대자보 사진이 1면 사진으로 실렸다. 직전 발행된 1853호를 이어받아 아젠다 키핑을 시도했다. 잠시 잊었던 현실의 공기를 붙잡아둔 신문의 공기다. 학교와 학생 대표자가 바뀔 현실의 공기 속에서, 2학기 편집국 고대신문의 공기는 어떨 것인가.

김진철 자전 심리15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