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부산지역의 한 중학교에서 식중독 사건이 발생했다. 식자재 유통회사 풀무원푸드머스가 초‧중‧고등학교에 납품한 케이크에 살모넬라균이 검출된 것이다. 풀무원푸드머스가 신뢰받는 식품생산업체인 풀무원의 계열사라는 점에서 이번 사태는 세간에 충격을 안겨줬다.

  당연히 식품을 제대로 점검하지 못하고 문제를 일으킨 납품업체에 일차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 전국에 학교급식으로 유통되는 가공식품의 식재료 점검을 꼼꼼히 하지 않은 점은 치명적인 잘못이다. 비위생적인 식품을 허술하게 품질검사한 식약처의 책임도 적지 않다. 해당 식품을 납품한 풀무원푸드머스는 2016년 식약청 검사를 통해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을 통과한 업체다. 정부가 담보한 식품에서 문제가 생긴 것이다. 하지만 인력에 한계가 있는 식약처에게도 수많은 업체의 위생상태를 완벽히 관리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니었을 게다. 완벽한 통제가 불가능한 만큼 사건이 터졌을 때 즉각 대응책이 나왔다면 이렇게 크게 일이 번지진 않았을 테다.

  이번 사태가 크게 번진 주요한 이유는 학교와 정부 당국의 늦은 대응에 있다. 가장 피해가 큰 부산에서 학생들이 문제가 된 케이크를 먹은 시간은 3일 점심이었다. 하지만 학교가 식약청에 문제 상황을 보고하고 식약처가 조치를 취하기까지 너무나 많은 시간이 걸렸다. 식약처는 5일 오후 4시가 돼서야 전국 학교 영양사들에게 케이크를 급식에 내지 말라고 지시했다. 풀무원푸드머스의 공식 사과와 해당 제품 판매중지는 사태가 발생한 지 4일이 지난 7일 오후에야 이뤄졌다. 조치가 늦어지는 동안 학생들은 급식으로 식중독균이 포함된 음식을 먹었고, 식중독을 앓지 않아도 됐을 2000여명의 학생들이 아직도 괴로워하고 있다.

  이번 사례처럼 수직적으로 구성된 정부 부처의 조직체계 때문에 보고와 대응이 늦어지는 일이 하루 이틀 일은 아니다. 그래도 윗선에 보고하고, 명령하는 수직적 체계가 정부와 같은 행정 조직에선 필수적이다. 확실한 의사결정으로 조직 내 혼란을 줄이고 부처 간 혼선을 막기 위한 최선의 선택이다. 하지만 이번 대규모 식중독 사태는 수직적 업무체계가 효율적으로 작용하지 못하는 시점도 있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수직적인 보고를 하겠다고 지체된 시간동안 오히려 더 많은 혼란이 발생하고 만 것이다. 학생들의 건강이라는 중요한 문제만큼은 신중한 보고보다는 빠른 대처가 우선이 돼야 하지 않을까.

 

글|진현준 대학문화부장 x-ray@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