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에서 지난 7월 <재활용품 분리배출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올바른 분리배출 실천방법을 알아보자.

 

  비우고 헹군다

  용기 안의 내용물은 깨끗이 비우고 배출해야 한다. 내용물이 남아 있을 경우 세균 번식, 악취로 재활용 작업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내용물을 다 비운 후에도 묻어있는 이물질과 음식물을 닦고 헹궈서 배출하면 재활용이 훨씬 쉬워진다. 캔과 유리병은 물론 다 먹은 컵라면 용기나, 과자, 빵, 라면 봉지 등도 씻어서 배출하는 것이 좋다.

  단, 헹궈도 이물질 제거가 어려운 경우엔 종량제봉투로 배출한다. 페인트통과 석유통이 이에 해당한다. 기름에 오염된 치킨박스나 피자박스 속지처럼 오염 정도가 심각한 경우에도 종량제봉투로 배출해야 한다.

 

  분리한다

  라벨, 뚜껑 등의 부착물은 제거하고 혼합재질로 구성된 품목은 최대한 재질별로 분리해 배출하자. 재질별로 분리해 배출하면 재활용 선별 작업이 짧아져 재활용이 쉬워진다. 제일 먼저 용기 밖의 부착상표나 뚜껑을 제거하자. 페트병 부착라벨과 유리병 뚜껑은 종량제봉투에 버리고, 페트병과 유리병만 재활용한다. 책자와 노트의 경우에도 스프링이나 비닐 코팅된 표지 등 종이류 외의 부속물은 따로 배출해야 한다.

  재질별 분리가 어려울 경우엔 종량제봉투에 배출한다. 알약 포장재의 윗면은 플라스틱, 아랫면은 알루미늄으로 각각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분리가 어려우므로 종량제봉투에 버려야 한다. 특히 광고지에 많이 사용되는 비닐 코팅 종이나, 감열지인 마트 영수증, 금·은박지의 경우 다른 재질과 혼합 구성된 종이여서 재활용할 수 없다. 칫솔 역시 플라스틱으로 재활용이 가능할 것 같지만 칫솔모와 손잡이가 다른 재질로 혼합돼 있어 일반쓰레기에 해당한다.

 

  구분한다

  비슷해 보이지만 다른 종류로 분류해 버려야 하는 것들은 알아두자. 다른 재활용 공정을 통해 각각의 제품으로 활용되기 때문이다. 우유팩, 두유팩 등의 종이팩류는 새 종이로 재사용되는 종이류와 달리 화장지, 미용티슈로 활용되므로 구분해서 배출해야 한다.

  거울, 전구, 깨진 유리, 도자기류, 내열 식기류, 유리 뚜껑, 크리스탈 유리제품, 유독물 병은 유리병류가 아니다. 전자레인지 또는 가스레인지용 유리 용기와 같은 내열유리는 일반 유리와 혼합 처리될 시 불량을 유발하므로 특수마대를 구매해 배출해야 한다. 깨진 유리는 재활용이 안 되므로 신문지 등에 싸서 종량제봉투에 배출한다.

 

글|엄지현 기자 alfa@

사진출처|환경부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