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9일자 ‘티베트 기 논란, 더 신중했어야’라는 사설을 읽고 눈을 의심하며 사설을 다시 보아야 했다. 방금 읽은 사설이 고대신문이 아니라 중국 어딘가의 어용 신문에 실린 사설인가 하는 생각이 들어 한국어로 쓰여 있는지 중국어로 쓰여 있는지 다시 확인해야 했기 때문이다. 

  고대신문은 교내의 권위 있는 언론으로서 정확하고 균형 잡힌 정보를 전달하고 동시에 고대 학우들의 목소리를 대변할 의무가 있다. 그러나 11월 19일자 사설은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 

  19일자 사설에서는 티베트에서 분리 독립을 위한 ‘폭력사태’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1959년에는 반중 ‘폭동’이 일어났으며 티베트 문제는 중국 내의 ‘역사적, 정치적 맥락’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서 단순히 ‘민주주의’와 ‘인권’ 차원에서만 바라볼 수 없는 문제라고 했다. 또한 ‘역사·문화에 대한 신중한 이해를 요구’한다고도 했는데 사설의 필자는 중국  내의 ‘역사적, 정치적 맥락’에 대한 신중한 이해는커녕 지극히 피상적이고 천박한 이해에만 머물러 있는 것 같다. 

  티베트에서 왜 분리독립 운동이 일어나는가? 1959년에는 왜 반중 ‘운동’이 일어났는가?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티베트의 역사적 배경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티베트는 역사적으로 독립국으로서 중국과 대등한 위치에 있기도 했고 중국 왕조의 한 지방에 속하기도 했다. 지면 상 티베트 역사를 상술하지는 않겠으나 청이 멸망한 이후 티베트는 ‘독립국’으로서의 정체성을 국내외적으로 분명하게 천명했다. 그러나 1951년 중국이 티베트를 침공해 무력으로 티베트를 중국 영토로 편입시켰고 이 과정에서 수많은 티베트인이 희생되었다. 나아가 티베트 고유의 문화·관습·언어는 철저하게 탄압되었다. 티베트인의 인권이 보장되지 않았음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1959년의 반중 ‘운동’과 그 이후에도 꾸준히 이어진 분리독립 운동은 반드시 이러한 역사적 맥락에서 파악되어야만 한다. 사설의 필자가 반중 ‘폭동’ 운운한 것은 티베트인의 숭고한 의지를 격하시키는, 전형적인 중국식 깔아뭉개기에 불과하다. 이것은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의미를 격하시키기 위해 5·18 폭동이라는 용어를 쓰는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행위이다. 

  앞으로 더 정확하고 더 신중한 보도를 통해 고대인의 진정한 목소리를 대변하는 고대신문이 되기를 바란다. 

 

Yuna Seo (익명)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