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이 중앙성소수자동아리 '사람과사람'이 부착한 대자보를 읽고 있다.
학생들이 중앙성소수자동아리 '사람과사람'이 부착한 대자보를 읽고 있다.

 

  고대신문 1871(318일자)에 게재된 기자칼럼 종단횡단’ <익지 않은 사과는 쓴 맛 일 뿐>이 성소수자 혐오표현 논란으로 학내 파장을 일으켰다. 칼럼 내용 자체의 문제제기 부터 시작해, 본교 중앙성소수자동아리 사람과사람이 붙인 항의 대자보, 학생기자 전원에 대한 직무정지 사태 등 여러 논란이 이어졌고, 현재 고대신문은 학생 편집국 전체의 명의로 공식 입장문을 게시한 상태다.

 

성소수자 혐오표현논란 제기돼

  논란이 된 해당 칼럼은 320일 본지 페이스북 페이지에 게재됐다. 게재된 직후 80여 개의 댓글이 달렸고, ‘기사 자체에 성소수자 혐오표현이 포함된 점’, ‘혐오 발언에 있어 표현의 자유를 논할 수 없는 점등을 중심으로 비판이 이어졌다. 또 해당 칼럼을 지면과 웹에 게재한 칼럼 승인 과정 전반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사태를 파악한 고대신문 데스크는 4인의 회의와 편집국 피드백을 거쳐 다음날 오후 2시경 편집국장 명의의 입장문을 올렸다. ‘성소수자 혐오에 대한 옹호가 포함된 글을 문제의식 없이 승인해 성소수자 및 독자에게 상처를 준 것에 대한 사과와 신문제작 과정을 전반적으로 재점검하겠다는 다짐이 주된 골자였다. 그리고 입장문 게재와 함께 웹과 페이스북 페이지에서 해당 칼럼은 삭제 됐다. 이러한 조치에 대해 임춘택 기획간사는 주간교수의 승인을 거치지 않은 부적절한 절차라고 지적했다.

  본교 중앙성소수자동아리 사람과사람은 대자보를 통해 고대신문의 대응이 무책임하다는 비판을 제기했다. 325일 오전, ‘사람과사람측은 <고대신문의 무책임한 대응을 규탄한다-고대신문은 언론으로서의 윤리보다 스스로의 위신이 더 중요한가> 라는 제목의 항의 대자보를 정경대 후문과 노벨광장 게시판에 부착했다.

  ‘사람과사람측은 대자보에서 기자 본인의 사과 부재 및 사후처리 약속이 부족하다는 점을 들어 보다 명확한 사과문을 오프라인 대자보로 게재할 것을 메일을 통해 요구 했지만, 고대신문 측에서 이를 불합리한 이유로 수용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에 기자 개인 및 칼럼 책임자 전반의 사과문, 데스킹 시스템의 구체적 개편안 마련, 오프라인 사과 대자보 게재를 고대신문에 요구했다. ‘사람과사람의 대자보 게시에는 본교 제51대 서울총학생회를 포함한 학내외 62개 단체가 연대했다.

 

직무정지 사태와 입장문 작성까지

  이후 공식 대응에 대한 논의는 325일 오후 7시부터 진행된 고대신문 정기 기획회의에서 이뤄졌다. 그 자리에서 편집국 전원은 이번 사안에 대한 학생 편집국 전체의 책임을 담은 입장문을 대자보로 게시하기로 의견을 모았고, 입장문 작성을 진행했다. 그리고 칼럼 승인 과정에 참여한 기획간사의 동참을 요구했다. 하지만, 임춘택 기획간사는 해당 칼럼은 대학언론이 수용할 만한 의견을 담고 있다. 다른 의견이 있다면 지면에 싣겠지만, 사과는 할 수 없다며 거부했다.

  27일 오전 8시경 기획간사는 전체 학생기자에게 직무정지를 통보했다. 당시 대자보 인쇄까지 완료된 상황이었으나, 직무정지 처분으로 학생기자 모두의 직위가 상실돼 고대신문 편집국의 명의가 실린 입장문이 게시되지 못했다.

  기자들의 직무정지를 통보했던 임 간사는 고대신문의 역사가 달린 중대한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당시 학생기자들이 충분한 숙고 없이 조급하게 대자보를 게시한다는 판단에 직무정지를 통보하고 이후 주간교수에게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전례 없는 직무정지 사태는 당일 오후 6시경 교육TV방송국 ‘KUTV’에 보도되기도 했다.

  한편, 당일 오후 8시에는 편집국장 주도로 고대신문 기자로 활동했던 재학·졸업 교우와의 논의가 진행됐다. 논의 과정에서 사과라는 방식의 대응에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지만, 보다 침착한 숙고를 전제로 한 학생 편집국의 의견을 존중한다는 일관된 견해도 나왔다. 입장문은 328일 오후 1시경 직무 정지가 해제된 이후 하루 동안의 추가적인 편집국 내부 논의를 거쳐 29일 오전 9시경 정경대 후문, 노벨광장에 게시됐다.

  <고대신문 1871호 종단횡단 칼럼에 대해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라는 제목의 입장문은 해당 기자를 포함한 학생 편집국 전체의 명의로 게시됐다.

  입장문에서는 미숙한 답신 메일에 대한 사과와 함께 기획간사의 편집 참여 축소, 학생 편집국의 데스킹 시스템 개편 등을 제시했다. 또한 편집국 내부의 인권 의식을 제고하고, 보도윤리준칙을 재정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318일 칼럼 게재부터 29일 입장문 게시까지 고대신문을 둘러싸고 진행된 논란에 대해 다양한 반응이 제기되고 있다. 한 누리꾼은 고대신문 내 인권교육이 확실히 이뤄져야 한다고대의 목소리인 고대신문에서 이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다시는 소수자 인권을 침해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문제 상황의 개선 단계를 알릴 필요도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한편, ‘문제가 된 표현이 혐오표현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 칼럼에 비난여론이 있다고 사과문을 쓰는 게 언론이냐는 의견도 있었다. , ‘입장문만을 통해서는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기에, 정말 문제가 있다 면 칼럼 원본을 공개해야 공정한 처사가 아니냐는 반응도 나왔다.

 

이선우 기자 echo@

사진|김예진 기자 sierra@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