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vs30. 200만 개의 분노한 SNS 계정은 청와대 국민청원을 통해 서로 정당해산을 요구했다. 지난달 말 국회에선 선거제 개편안과 공수처 설치안 패스트트랙 지정을 두고 거대정당의 대치가 벌어졌고, 급기야 자유한국당과 더불어민주당의 정당해산 청원이 경쟁하듯 이어진 것이다. 이를 두고 성난 민심의 표현이다’, ‘여론 조작이 의심된다등 정치적 갈등은 심화됐고, 여야를 비롯한 정국은 얼어붙었다.

  본질에 접근하기 위해선 청와대 국민청원으로 정당해산을 요구한 여론의 건전성을 따져봐야 한다. 민주사회에서 갈등을 해결하는 가장 상식적인 방법은 대화와 타협이다. 그러니 자신의 입장과 다르다고 해서 타인에게 사라지라고 하는 건 통용될 수 없는 소통방식이다. 정당해산 국민청원은 전형적으로 후자의 방식을 취하고 있다. 생각과 의견이 다르다고 서로 해산하라고 요구하는 이 여론의 형식은 결코 건전하지 않다. 정치가 그저 상대방을 헐뜯고 욕하는 집단싸움의 형태로 변질될 때, 대화와 타협이라는 민주적 덕목은 실종되고 만다.

  이번 정당해산 청원은 몸싸움, 고성, 성추행 논란 등으로 얼룩졌던 국회와 두 거대정당에 대한 실망과 분노의 표현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국회 선진화법 이전으로 되돌아간 듯한 동물국회가 재연되면서 국회의 부끄러운 민낯이 그대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에 분노한 여론의 정당해산 국민청원 또한 그 표현이 성숙하지 못하기는 매한가지다. 극한의 대치상황으로 치달았던 지난 4월의 국회나, 이후 불거진 정당해산 청원 경쟁이나 둘 다 대화와 타협은 사라진 결론 없는싸움이다.

  민주사회에서 갈등은 그 과정의 일부다. 생각과 의견이 다른 서로가 싸우는 것이 더 정상에 가깝다. 그렇기에 그 싸움을 슬기롭게 마무리하고, 한 걸음 전진하는 지혜를 발휘하는 것도 우리 사회의 몫이다. 죽기 살기로 서로를 타도하고 해산하라고 외치는 공멸의 투쟁은 적절한 풀잇법이 아니다. 또 이러한 갈등과 반목의 정치지형이 지속된다면 우리 사회는 끊임없이 대립하고 분열할 수밖에 없다. 해산요구보다는 토론을 제안하고 몸싸움보다는 타협과 협상을 하는, ‘제대로 싸울 줄 아는한국 사회가 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