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존주의보 발령 횟수가 급증했다. 올해 현 시점까지 전국에 발령된 오존주의보는 440회를 웃돈다. 2016(241)2017(276)에 비해 2배가량 증가한 수치이다. 아직 7월임을 감안하면 연말에는 2018(489)의 발령 횟수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여름이 돼 대기오염의 주범인 미세먼지가 점차 수그러드는 듯하자 오존이 기승을 부리는 것이다.

  오존은 대기 중에서 인체와 접촉하면 장기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친다. 기체 형태로 존재해 미세먼지와 달리 마스크로 차단할 수도 없다. 하지만 정부 대책과 시민들의 관심은 오직 미세먼지에만 쏠려있을 뿐, 눈에 보이지 않는 오존은 뒷전이다. 매일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하고 나쁨수치이면 마스크를 챙기는 것과 달리 오존주의보가 발령돼도 아무렇지 않게 실외로 나서는 이가 태반이다. 정부에서 오존생성물질인 질소산화물(NOx)과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을 저감하고자 자동차와 공장 배출가스를 관리하고 있으나, 오존주의보 발령 시의 대처는 권고 수준에 그쳐 실질적인 오존오염 대비로는 역부족이다. 특별법을 발의해 관리하는 미세먼지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인 것이다.

  국민적 관심이 미세먼지에 집중돼 있다 해서 정부가 미세먼지 대응책 마련에만 함몰돼선 안 된다. 오존과 미세먼지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다. 정부는 미세먼지와 더불어 국민들에 오존오염의 위험성을 정확히 알리고, 이들을 통합해 관리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나서야한다. 바람과 함께 국경을 넘는 대기오염물질의 특성을 고려해, 국내 대책 추진과 더불어 국제협력도 하루빨리 이뤄야 한다.

  올 3월 문재인 대통령은 중국에서 오는 미세먼지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국 정부와 협의해서 긴급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서울시는 2020년까지 미세먼지 대응 국제기구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서울시가 대기질 개선을 위한 국제기구 마련에 선봉장을 맨 만큼, 오존농도 저감을 위한 국제적 협력을 위해서도 동시에 선두에 서야 할 때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