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교에서 4차까지 열린 조국 규탄집회가 이제는 교문 밖으로 나갈 기세이다. 현재는 법무부장관이 된 조국 서울대 교수의 지명과정을 두고, 근 한 달여간 쏟아진 언론기사가 25000건 이상이었고, 수사에 투입된 검찰인력만 250명이 넘었다. 중대사건이어서 그토록 언론과 검찰이 집중하였는지, 중대사건을 만들려고 그랬는지 혼동될 지경이다.

  조국 사태는 우리 사회에 큰 파장을 미쳤고, 많은 균열을 드러냈다. 학교당국에도 큰 혼란이 있었다. 조국 딸의 입시문제로 학교 입학담당 부서와 기록담당 부서, 심지어는 10년 전에 입학처가 위치했던 부서의 학교 관계자까지 검찰의 조사에 불려 다녀야 했다.

  학생사회에는 더 깊은 균열이 드러났다. 지난 8231차 집회가 시작된 이래 4차 집회까지 1500여 명의 학생이 집회에 참가했다. 4차 집회에선 고대생이라는 제한을 풀었다 해도, 근래에 보기 드물 정도로 학생들이 많이 모인 집회였다. 최근 불거진 총학생회 탄핵추진의 배경도 조국 집회의 여파인 셈이다. 대학사회를 지배하는 공고한 무관심을 뒤흔들 정도로 정의와 공정에 대한 문제제기가 학생들을 강타하였다. 지난 집회를 두고 애써 색안경을 쓰고 보려는 이들도 있지만, 가까이 지켜본 바로는 이들은 분명히 고대생들이었다.

  조국을 둘러싸고 '도덕성 흠결'에 분노하는 목소리와 검찰개혁이라는 정치적 목적을 달성해야 한다는 의견의 충돌 또한 바로 우리 옆자리에서 불거졌다. 기존에 정치적 이념에 차이가 컸던 사이가 아니라 지금까지 정치이념이 동질적이라 여겼던 사이에서도 큰 균열이 나곤 했다. 대통령은 국회의 인사청문보고서 채택 무산에도 임명을 강행했고, 문재인 정부에서 청문보고서 채택 없이 임명된 고위공직자는 22명이 되었다. 역대 정권 최다의 이 기록은 문재인 대통령 임기 중 최저 지지도로 반영됐다.

  이처럼 조국사태는 우리 사회에 큰 파장을 남겼지만, 이 속에서 고려대를 포함한 대학가, 젊은 세대들은 오늘의 현실을 어제의 비참과 비교하지 않는질문들을 하였다. 그리고 이 질문들이 이른바 586으로 불리는 기성세대와 어떻게 결을 달리하는지도 보여주었다.

  조국 사태에 대한 문제의식은 더 너른 시야 속에서 더 집요하게 실천돼야 한다. 조국집회가 던진 질문들이 우리 사회와 구성원의 행동 양식을 변화시키는 질적 전환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