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제도정치권에서 다시 한 번 청년정치가 호명되고 있다. 20대 국회의원 중 30대 이하는 단 3명으로 직전 19대의 9명보다 오히려 줄었다. 201620대 총선에서 39세 이하 유권자 비율은 35.6%인 것을 감안하면 연령대로서 청년세대의 비율은 상당히 낮다.

  물론 나이가 청년세대의 정책적 이해를 대변한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청년세대의 당사자성을 강조하는 것이 도리어 청년정치를 협소하게 이끌 우려도 있다. 그렇지만, 현재 기성 정치권이 청년세대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부족한 것은 여실해 보인다. 20대 총선 과정에서 천명되었던 청년의 일자리 확대나 주거여건 개선이 정책적으로 반영된 것도 적고, 국가 청년정책의 기본이 되리라 기대됐던 청년기본법도 아직도 국회에서 머물러 있는 상태이다.

  그럼에도 기성정치권에서 청년정치의 몫을 할당해주기를 기대하거나, 호명되기를 기다려서는 안 된다. 이러한 의존성이 부각될 때마다 제도권 정당정치는 청년세대를 정치적 이벤트용 소품으로 취급할 뿐이다. 한국 정치사에서 30대에 국회의원이 된 이들이 많지만, 이들의 자리는 청년세대의 몫으로 물려받은 것은 아니었다. 시대가 지날수록 사회적인 경력과 정책적인 경험을 쌓는 데도 많은 준비기간이 필요하도록 변하고 있다. 더욱 그럴수록 정치적인 역량과 저변을 넓혀가는 분투의 과정을 생략할 수는 없다. 청년의 대표성을 높일 수 있는 선거제도로서 연동형비례대표제가 거론되지만, 현재의 정국구도에 이것이 실현될지는 미지수이다. 도리어 유권자로서 청년세대에 유효한 지자체의 정책들이 국가정책 차원에서 도입되도록 청년세대가 그 효과를 방증하는 것이 효율적인 실천방안이 될 수 있다.

  어느 시대의 정치이든 양보를 통해 권력이 건네지는 경우는 드물다. 작은 정치의 경험은 대학사회에도 있다. 조만간 예정된 학생회 선거부터 학생회 활동까지 적극적인 참여가 축적돼야 한다. 정치의 효능감을 경험하지 못한다고 해서 자꾸 회피하려 들면 아예 정치적 기회는 사라지게 된다. 청년정치의 동력은 정치에 대한 올바른 관심과 실천을 통해 발언권과 영향력을 확보하는 가운데서 출발할 것이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