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말시험을 앞두고, 비대면 시험 권고방침을 내세운 학교당국의 태도에 학생들의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코로나 3차 대유행으로 연일 500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하는데도, 교수자의 재량에 시험방식 결정을 미룬다는 것이다. 교수자의 의사결정을 학교본부가 강제할 수 없기에 권고안을 내세우는 학교의 입장이 일관성에 벗어난 것은 아니다. 하지만, 학생안전과 밀접하게 연결된 문제를 개별 교수의 판단에 맡기기엔 현재의 코로나19 상황이 상당히 엄혹하다.

  학교 방침에 대해 학생의 이견이 제기될 때, 그간 학내의 주된 해결 방식은 학생처 중심의 대표자 협의였다. 학생대표자와 학생처장, 교직원이 만났고, 사안이 엄중할 때는 총장과의 소통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맨투맨으로 즉각적인 문제를 파악하고, 대화와 질의로 해결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효율적인 방식이다. 하지만, 대표자와의 논의만으로는 학생과의 소통 문제가 말끔히 정리되지 않는 게 현실이다.

  학생사회 대표자로서의 총학생회의 위상은 전과 같지 않다. 27, 무려 세 번째 선거가 투표성립요건인 33%의 투표율에 못미쳐 무산됐다. 온라인 홍보 부족으로 치부하기 어려울 정도로, 학생회의 필요성과 존재 가치를 개개인 학생이 충분히 공감하지 못한 것이다. 여기에는 학생회를 향한 학교의 전적인 소통 의지, 대화 테이블의 효용성이 개별 학생들에게 닿지 못하고 있음을 방증하기도 한다.

  현재 학생들은 뿔뿔히 흩어져 있다. 학교 당국이 대학 공동체의 존속을 진정으로 원한다면 학생 개개인을 엮는 거시적인 차원의 소통 노력이 필요하다. 학내 정책을 결정하는 교무위원회나 학내 사안을 자문하는 대학평위원회 등 회의에서 논의된 학생 관련 사안은 학생들에게 즉각 알리는 방식을 취해야 한다. ‘모니터링단의 형태로 일부 학생들이 학교 행정을 관찰하고 평가를 더하는 기회도 부여해야 한다. 코로나 시국을 전진의 기회로 삼으려면 대학 구성원들은 하나의 공동체로 연대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구성원 간 이해와 소통의 과정이 절실하다. 오늘의 대학사회를 냉정히 돌아볼 때, 앞으로의 대학 내 소통법은 반드시 달라져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