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한 유력 경제지의 재미있는 칼럼을 하나 소개한다. 주제는 글로벌 경제계의 뜨거운 감자인 인플레이션으로, “당신들이 걱정하는 만큼 심각한 인플레이션은 없을 것이라는 주장이 핵심이다. 흥미로운 부분은 그 근거에 있다.

  칼럼은 말한다. 인플레이션이 기우일 뿐인 이유는 물가를 짓누르는 몇 개의 거대하고 세계적인 힘이 있기 때문이라고. 미국과 다른 국가들이 합심해 천문학적 돈을 쏟아붓고, 시중에 흘러든 자금이 경기 회복과 맞물리면서 폭발적인 물가 상승을 낳은 결과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 압력으로 인해 세계 경제에 또 다른 충격을 줄 것이란 구구절절한 이야기와는 달라 꽤 신선하다. 거대하고 세계적인 힘, 인간 따위는 안중에도 없는 우주적 존재들의 대화에서나 나올 법하지 않은가.

  하지만 막상 그 힘의 정체는 너무 익숙한 것의 나열이다. 바로 기술과 세계화, 고령화다. 문제는 이것을 어떻게 인플레이션과 연결하는가인데, 그것마저도 특별하지 않다.

  첫째, 기술 혁신은 생산비를 끌어내림으로써 재화의 가격을 낮춰왔다. 더 적은 돈으로 같은 물건을 살 수 있다는 것은 돈의 구매력이 향상했다는 뜻이다. , 세계화로 인한 무역의 성장으로 값싼 제품과 노동력은 넘쳐난다. 칼럼은 세계적 인건비 하락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상쇄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고령화 또한 두 가지 측면으로 나뉘는데, 내가 재미있게 본 부분도 여기다.

  먼저 사람은 고령이 되면 지출은 줄이고 저축을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다. 때문에 고령화 사회에서는 정부가 돈을 아무리 찍어내도 물가 상승을 유발하기엔 부족하다. 또한 고령화 사회에서는 젊은층과 고령층이 동시에 노동시장에 나오면서 더 큰 경쟁을 유발하고, 이는 평균 임금이 줄어드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문득 상사를 향해 거침없이 입 닫고 지갑 좀 열어달라고 했던 둘째이모 김다비씨의 노래가 생각난다. 그의 바람과 달리 지갑을 닫는 노인들이 늘어나 인플레이션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란 전망이 마냥 안심할 일인가. 코로나 이후 미디어가 지나치게 인플레이션의 역기능만을 주목하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 볼 일이다. , 곧 첫 손주를 보는 환갑의 아버지는 앞으로 돈 쓸 일이 더 많아졌다며 일단은 고령화의 인플레 방어설을 부인했다.

 

<b>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