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을 정의하는 대표적인 유형으로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 두 가지가 있다.

영국 사회학자 라운트리(Rowntree)는 ‘순수하게 신체적 능률을 유지하기 위한 최저한의 필수품을 사는데 필요한 소득에 미치지 못하는 상태’, 즉 영양적 박탈 상태를 1차적 빈곤으로 정의했다. 절대적인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평균적인 성인과 아동의 일일 영양필요량을 측정했다.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식품, 그리고 의복과 주거를 위해 지불해야 할 현금을 빈곤선으로 계산했다. 그는 인간으로서 1차적 빈곤을 충족시키는 것이 최선이라 생각했다. 1950년대 이후 오샨스키(M. Oshansky)는 이 개념을 발전시켜 빈곤선에 엥겔지수를 도입했다. 이 방식은 소득의 증가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식료품을 통해 절대적 빈곤선을 설정하려 한 것이다. 소득 규모가 낮을수록 전체 소비량에서 식료품 구매의 비중이 높아지는 특성을 이용해 빈곤의 객관적 수치를 측정했다. 구체적인 빈곤 수치를 제시할 수 있는 이 방식은 미국을 비롯한 국가들이 사용하고 있다.

객관적이라고 생각했던 절대적 빈곤선도 경제성장에 따른 구성원들의 상대적 박탈감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드러났다. 그리고 △과거 사치품이 현재의 필수품으로 되는 현상을 신속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 △빈부격차가 나는 지역적 상대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정하게 빈곤선을 적용한 점 △직업 구성과 연령 구성을 세밀하게 생각하지 않은 점 등이 측량의 미흡한 점으로 지적됐다. 이렇게 등장한 상대적 빈곤의 개념은 타운센드(Townsend)가 상대적 박탈의 개념을 사용하면서 부각됐다. 그는 가구소득이 평균소득의 50% 이하일 때는 극빈층, 80%이하일 때는 빈곤층으로 규정하고 삶의 질적인 측면에서 빈곤을 측정하려 했다. 또한 그는 ‘사교적인 사회관계의 유지’라는 개념을 빈곤선에 도입해 삶의 질 문제에도 접근하고자 했다.

상대적 빈곤선의 설정은 기관과 국가마다 다르다. 세계은행에서는 개발도상국의 경우 평균가구소득의 3분의 1을, 선진국의 경우는 2분의 1을 빈곤의 기준으로 삼고 경제협력개발기구의 경우에는 중위가구소득의 40%로 설정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평균소득의 50~60%, 가구지출의 하위 20%, 가구평균지출의 60% 정도를 상대적 빈곤선으로 규정한다. 이는 사회적 불평등을 가늠하고 국제적 빈곤 현상을 비교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된다. 하지만 상대적 빈곤은 빈곤의 범위와 범주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한계를 보인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