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한국의 빈곤현상은 1960년대 발생한 대규모 이농현상과 1997년에 일어난 외환 위기가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학계에서는 평가한다.

1960년대 산업화가 진행되던 시기에, 박정희 전 대통령은 경공업의 활성화를 전격적으로 추진하면서 도시로 많은 노동력을 끌어들였다. 그래서 농촌에 생활터전을 마련하고 있던 인구들 상당수가 도시로 이동했다. 도시로 올라온 농촌 인구는 도시의 과밀화 현상을 초래했다. 일자리를 얻지 못하는 이들이 늘어갔고 살 곳을 잃은 노동자들은 행상·노점, 일용가게와 같은 사회의 비공식적인 부문에서 개인 사업을 하게 됐다. 이 과정에서 이들은 도시 빈곤층으로 전락하고 빈민촌인 판자촌을 형성한다. 하지만 경제성장이 이뤄지면서 이들 도시 빈곤층의 비율은 점차 낮아졌고, 의식주의 기본 욕구가 충족돼 빈곤은 절대적인 것에서 상대적인 것으로 그 개념을 옮겨갔다.

1997년에는 외환위기에 따른 구조조정으로 경제성장과 함께 줄어들었던 빈곤층 비율이 다시 증가하게 된다. 당시 IMF의 구조조정 요구와 사회 전반에 걸친 경제 침체로 노동자들은 일자리를 잃었다. 통계청의 실업률 조사에 따르면 1997년 경제활동인구의 2%에 머물던 실업률이 1999년에 이르러 약 9%에 육박했다. 또 1999년에는 노동시장으로 재진입하지 못한 장기 실업자들의 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 저임금 불완전 고용에 따른 서민들의 빈곤현상도 확산됐다. 한국 통계청에서 매년 발간하는 <도시가계연보>에 따르면 구조조정 개편 속에서 상위 20%의 부를 가진 계층은 그들의 소득을 늘려 가고, 하위 20%의 빈민층은 점점 일자리를 잃어가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일어났다. 이 시기에는 또한 중산층이 빈곤층으로 하강 이동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1년, 국가별 사회복지비 지출현황에서 국내총생산(GDP)의 8.7%를 기록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한 국가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처럼 아직 국내의 사회복지에 대한 투자는 미흡한 실정이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