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냐 민간이냐. 이것이 한국과 외국의 장기기증 시스템의 차이를 단적으로 드러내주는 말이다. 그러나 실제 장기이식 체계 면에서 한국과 외국의 차이는 겉으로 보이는 것보다 훨씬 크다.

외국의 경우, 작게는 한 국가 내에서 크게는 몇 개의 국가가 연합하여 장기이식 네트워크를 구성해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미국에는 UNOS(United Network for Organ Sharing), 유럽에는 네덜란드·벨기에·룩셈부르크·독일·오스트리아에 걸친 ET(Euro Transplant)가 있으며, 러시아와 동구권 국가들 사이에는 Inter-Transplant 등이 있다. 그 외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의 유럽 국가에는 국내 네트워크가 설립돼 있으나, 긴급 환자 발생 시 ET 중계센터에 의뢰해 장기를 제공받는 등 국가 간 정보 교환도 활발하다.
 
이런 외국의 장기이식 네트워크는 주로 비영리 민간단체에 맡겨지며, 정부 보조금이나 기부금, 이식대기자의 등록비 등으로 운영된다. 또한 장기이식 네트워크는 장기이식코디네이터를 통해 환자와 기증자를 이어주며, 환자가 장기이식을 받기까지의 국내 혹은 국제 업무를 관장한다.

장기기증을 활성화하기 위한 각 국가들의 움직임도 다양하다. 한 예로 미국이나 영국, 오스트리아에서는 본인의 장기기증 의사 여부를 운전면허증에 표시하게 하는 ‘장기기증 의사표시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뇌사자가 발생하면 장기기증 여부를 반드시 묻도록 돼 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프랑스, 스웨덴, 그리스, 이스라엘 등 17개국에서는 ‘추정동의제도’를 도입해 ‘절대로 장기기증 않겠다’는 표시가 없으면 장기기증에 대한 암묵적 동의로 받아들이다.

장기이식 네트워크 구성, 정보 공유

뇌사자 발생시 장기기증 여부 물어 
 

한편, ET에서는 뇌사자의 장기기증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는 큰 이유 중 하나를 유족의 반대에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도 했다. 이는 ‘장기공여 증진을 위한 병원교육프로그램(European Donor Hospital Education Program, EDHEP)’으로 ‘장기 부족에 직면해서(Meeting the Donor Shortage)’, ‘사별의 슬픔과 장기공여(The Grief Response and the Donation Resquest)’로 구성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족들에게 장기기증의 긍정적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 목적이며, 궁극적으로는 뇌사자의 장기기증을 늘리기 위함이다.

게다가 영국이나 미국에서는 장기기증 홍보에 사회 저명인사가 직접 참여해 일반인들의 장기이식 참여를 호소하는 등 사회 지도층이 장기 이식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