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기부금을 모으기 위한 국내 대학의 노력이 많아졌다.

대학에서 모으는 기부금의 80%이상이 기업에 의존하고 있다. 대학은 교육환경 개선 비용의 많은 부분을 기업의 기부금으로부터 충당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은 더 나은 시설을 갖추기 위해 기업으로부터 더 많은 기부를 받고자 노력하고 있다.

대기업의 기부는 2000년대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기업의 기부 증가는 기부 자체가 기업의 홍보를 도울 뿐만 아니라 대학이 적극적으로 기부기업을 홍보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각 대학마다 기업의 기부를 받은 건물에 기업이름을 붙이는 것은 당연한 예우가 됐다. 연세대의 경우, 기업의 후원을 받아 초빙한 저명한 석학에는 ‘현대자동차 석좌교수’, ‘LG상남 석좌교수’ 등으로 명명한다. 또 기부자에게 평생교육원 등 학교 내 교육시설의 수강료 혜택을 주는 대학도 많다.

이에 대해 이진규(경영대 경영학과) 교수는 “대학이 기부금에 대한 대가를 전제로 기부금을 받는 것은 옳지 못하지만, 더 많은 기부금을 모으기 위해 기부금을 받은 데에 대한 감사의 표시는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연수(법과대 법학05)씨는 “건물에 기업의 이름을 붙여주는 것은 기업에 홍보효과를 주기 때문에 순수한 기부라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다른 이유로는 기업이 사립대학에 기부할 시에 주는 세제감면 혜택을 들 수 있다. 이에 대해 어윤대 총장은 “기부금을 회사비용이나 경비로 인정해주는 것이 관건인데 국립대의 경우 100%로 인정해주나 사립대는 그렇지 않다”며 “세법에 매출액과 이익 비율을 정해놓았으므로 기부의 목적이 세금공제라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밝혔다.

적극적인 대학의 기부 유도가 늘어나면서 기업들은 곤란한 상황에 빠지기도 한다. 본교 백주년기념관 건립을 위해 400억원을 기부했던 삼성은 본교에 이어 연세대 120주년 기념 도서관 건립에 300억원을 기부했다. 이어 이화여대에도 ‘이화·삼성 캠퍼스센터(ESCC)’라는 명칭을 가진 건물 건립을 위해 수백억원을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또한, 서울대에도 미술관 공사를 위해 150억원을 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삼성측에서는 어느 대학에 얼마의 돈을 기부했는지를 밝히기를 꺼리고 있다. 기부액과 기부사실을 밝히게 되면, 대학들이 삼성으로부터 기부를 받기위해 줄지어 요청하기 때문이다. 기업들은 대학들의 경쟁적인 요청에 곤혹스러워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교수는 기업의 기부에 대학들이 집중하는 것에 대해 학교가 더 나은 교육 환경을 갖추기 위해서는 등록금만으로는 부족하므로 기업의 기부에 의존하게 된다”고 말했다. 

정부 역시 사립대학에 기부 문화가 필요함을 인정하고 기업의 기부문화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난 3월 김진표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은 “대학들이 운영의 67%를 학생들의 등록금에 의존함으로서 겪게 되는 운영상의 애로 요인을 해소하고 기업들의 보다 적극적인 인재양성을 뒷받침해주기 위해서 기업이 사립대학에 기부하는 경우 기부금에 대한 세금을 전액 면제해주는 방안을 관계부처와 협의중”이라고 말했다. 또한, 지난 24일 김 장관은 “관련 세법 개정과 관련해 재정경제부와 합의했다”고 밝혀, 이 법안이 국회를 통과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