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정당에 대한 이해가 사회 전반적으로 부족한 것은 여전하다. 올해에도 대선을 앞두고 창당하거나 창당준비위원회 결성신고를 한 정당만 해도 16개에 달한다. 군소 정당은 텔레비전 토론회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에 투덜대기 보다 우선적으로 자신들이 누구를, 무엇을 대변하고 있는지 고민해야 할 것이다. 
해방 이후 현재까지 우리나라에 존재했던 정당(政黨)의 숫자는 대략 200여 개이다. 이는 선거에 참여했던 정당의 수치로 선거에 참여하지 않은 정당까지 포함하면 그 수는 300여 개에 이른다. [참고 표2]


우리나라의 군소 정당들은 선거에 즈음해서 당선을 노리고 우후죽순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으로 선거가 끝난 후 사라지기 일쑤였다. 그래서 각각의 정치 성향을 분류하기가 어렵다. 선거를 앞두고 군소 정당의 설립이 난무하는 것은 지금도 마찬가지, 이는 우리 나라의 군소정당이 특정 지지기반을 갖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군소정당은 지지 세력의 이익이나 목소리의 대변(代辯, Representation)이라는 정당의 기본적 역할을 충분히 담당하지 못하고 있다. 선거를 노리고 갑작스레 결성된 군소정당이 대다수이기 때문이다. 결국 그런 정당은 선거 후 통합이나 자진해산 등을 통해 소멸한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 민주화가 이뤄진 이후에는 우리나라 군소 정당에도 변화가 오기 시작한다. 특정 세력의 대변이라는 정당 본연의 역할을 제대로 이행하는 정당이 나타난 것이다. 정치학자들은 그 시작을 14대 대선의 백기완 후보로 보고 있다. 당시 백 후보는 ‘민주화 세력’이라는 지지기반을 갖고 대선에 참가했다. 백 씨 이후 진정한 의미의 정당은 지난 15대 대선에서 출현했다. 권영길 후보의 국민승리21이 그 것. 당시 국민승리21은 노동자 계층의 이익을 대변할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도 민주노동당이란 이름으로 노동자 계층의 지지를 받으며 정치계에서 그들의 대변자적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다는 것이 정치학계의 중론이다.

그러나 정당에 대한 이해가 사회 전반적으로 부족한 것은 여전하다. 올해에도 대선을 앞두고 창당하거나 창당준비위원회 결성신고를 한 정당만 해도 16개에 달한다. 군소 정당은 텔레비전 토론회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에 투덜대기 보다 우선적으로 자신들이 누구를, 무엇을 대변하고 있는지 고민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