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마다 시설관리를 맡는 인원이 100여명에 육박하지만 전국 대학교중 시설관리노동조합(이하 시설관리노조)이 있는 곳은 거의 없다. 학교가 밀집해 있는 서울시 내에서 조차 전국시설관리노동조합(이하 전국시설관리노조)과 함께 활발히 활동 하는 곳은 본교뿐이다.

이처럼 노조가 없는 이유는 학교가 시설관리에 용역회사의 인력을 쓰면서 시설관리요원(이하 요원)들이 모두 비정규직자가 됐기 때문이다. 비정규직인데다 고령인 요원들은 사실상 노조 설립 시 위험부담을 지기 힘들다. 또한 한 학교에 업체가 4~5 곳이나 되기 때문에 요원들은 노조를 위해 단합하기 어렵다. 결정적으로 노조를 만들어도 계약 과정에서 용역회사가 바뀐다면 이전 회사의 요원들은 모두 해직되기 때문에 노조의 존속성도 보장할 수 없다. 이런 이유로 시설관리노조는 설립 시도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노조가 없는 학교의 요원들에게 가장 큰 문제는 고용불안이다. 학교의 일방적 결정에 직장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용역회사가 재계약에 실패할 경우 하루아침에 대량 실업자가 발생하게 된다. 용역회사가 일방적으로 정한 정년이 되면 나가야 하는 것도 문제다. 본교는 노조·회사 간 협상으로 정년을 70세로 정했지만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64세가 되면 직장을 떠나야 한다.

아직까지 위의 문제들은 대부분의 학교에서 내재된 채 현실화되지 않았다. 한번 계약한 회사가 몇 년째 재계약을 하면서 고용승계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부분의 학교는 마찰을 피하기 위해 나이가 정년을 넘은 요원도 계속 일을 시키고 있다. 6년째 Y대의 시설관리업무를 보고 있는 A씨는 “노조가 뭐가 필요하나? 일할 수 있으면 하고 못하면 나가면 되는 거지” 라며 노조의 필요성을 실감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내재된 문제가 현실화 된 부산대에선, 지난해 1월 용역회사가 바뀌면서 92명의 시설관리 요원이 하루아침에 일자리를 잃었다.
 
노조가 없는 현재의 구조가 계속 된다면 부산대처럼 내재된 문제가 실제로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와 관련해 이영숙 전국시설관리노조 본교지부장은 “시설관리요원들에게 가장 절실한 것은 학생들의 관심”이라며 “노조가 있건 없건 학생들이 관심을 가져주지 않는다면 어떤 문제건 해결되기 어렵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