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른바  ‘장백공정(長白工程)’을 통해 백두산에 대한 중국의 영유권을 확보의지가 노골화되고, 고구려와 발해를 중국사의 일부로 서술한 연구물이 중국에서 속속 출간되고 있다. 중국은 동계 아시안게임 성화를 백두산 천지에서 채화하고, 2018년 동계올림픽을 백두산에 유치하고 나섰다. 이에 지난 2004년 8월  ‘고대사를 정치쟁점화 금지’ 등 한·중간 5개항의 구두양해로 매듭지어진 한?중간의 역사와 영토갈등이 다시 재연되고 있다.

동북공정의 연구물들에 대해 정부당국은 중국의 국책연구기관인 사회과학원이 정부기구가 아니고, 학술활동이 결과이기 때문에 문제 삼지 않았다는 입장을 보였다. 또한, 정부가 지난 2년간 동북공정 문제에 대해 정치적 외교적 대응을 거의 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응하는 정부 태도와는 전혀 다른 반응인 것이다. 먼저 정부당국은 중국 정부에 대해 역사 왜곡을 중단을 요구하고, 북한과의 인접지역에 대한 개발에 강력히 이의를 제기해야 한다.

현재 동북공정의 논란을 두고 성토대회 벌이는 모습은 아무런 진전이 없었던 지난 시간을 반복하는 일이다. 냉철하고 차분하게 분석해 학문적인 연구와 정책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 국가권력에 휘둘린 중국의 역사연구결과에 대해 우리의 역사학계는 수준 높은 연구로 학문적인 논거를 제시해야 한다. 또한, 정책당국은 이를 후원하면서도 역사 연구를 현실 정책의 수단으로 전용하려는 잘못을 범해서는 안된다. 현재 일부 노출된 전공별 학자간, 관료와 학자들간, 시대별 연구자들간의 갈등도 학문과 정책의 조화속에 해결돼야 한다. 더 이상 역사드라마식의 자기만족으로는 중국과의 역사 갈등을 해결할 수는 없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