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11월 25일(토) 교육인적자원부 산하 국사편찬위원회가 주관하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 처음 시행된다고 한다. 편찬위 관계자들은 한국사에 대한 관심을 확산시키기 위해 제도를 만들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이러한 의도를 살리기보다는 또다른 사교육의 부담만을 양산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 결국 이 제도에는 신규 채용과 승진 시험 등에 활용해주길 바라는 기대가 깔려있기 때문이다.

언제부터인가 학교교육을 거친 학생들의 학습능력이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대신 그 자리에 영어, 한자, 국어 등 각종 양태의 능력시험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외부평가는 시험 주관단체에게는 엄청난 수익을 안겨준다. 하지만, 학생들은 시간은 부실한 공교육으로 때우고, 내용은 고비용의 사교육으로 메꾸는 이중부담에 시달린다. 이 추세는 중고등학생에서 초등학생과 대학생으로 확산되는 중이다.

중등교육과정에서 국사는 지난 1992년부터 사회 과목에 통합되었다. 현재는 수능시험에서 11개 사회탐구 선택 과목 중 하나지만, 선택율은 하위권을 맴돌고 있다. 중국의 동북공정과 일본의 역사 왜곡 등 올바른 역사인식이 작금의 갈등을 푸는 시발점이 되는 가운데 학교에서는 국사를 소홀히 다루는 것이다.

최근 교육부에서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90.3%가 역사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역사교육의 강화가 외부평가의 신설로 해결될 수는 없다.

이러한 시험이 제기될 정도로 국사 교육에 문제가 있다면 학교안에서 해결점을 찾아야 한다. 과목과 수업량의 조정 내지는 수업방식의 변화 등 방법은 많다. 교육의 문제를 밖에서 해결하려 하기에 공교육에 대한 신뢰가 자꾸 떨어지는 것이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