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고료 욕심이 나서 고대신문의 글 청탁에 쓰겠다고 답은 하였으나, 나는 한 학기에 달랑 책 세 권을 만드는 게으른 인간인지라 고대신문에게 이 기사 이렇고 저 기사 저렇다고 훈수 놓을 수준은 못 되니 그리는 못 쓰겠고, 그저 쓸모없는 넋두리만 늘어놓을 작정이다.

다른 학교 교지가 표지부터 냄비받침으로 디자인했다는 말을 들었다. 이 궁핍한 예처럼 오늘의 대학교에서 학내언론을 지키는 일은 쉽지 않다. 이것은 몇 가지 위협들 때문인데, 그 위협 중 하나는 이런 저런 일로 바빠서 학교일에는 관심을 가질 여력도 없다는 학생이다.

그런데 당장 고려대학교 자유게시판 따위를 봐도 학생들이 알고 있는 학교정보의 양은 방대하여 학내언론 한다는 사람이 무안할 지경이다. 그러고 보면 학내언론의 입지를 위협하는 것은 오히려 누구에게나 학교정보가 열려있다는 점일지도 모른다. 곤란한 일은, 그 정보라는 것이 쉽게 다룰 것이 못 된다는 데 있다. 예를 들어, 나는 학교 일에 대해서 설명을 듣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 때마다 같은 사안을 두고 이렇게 서로 다른 설명을 늘어놓을 수 있을까 싶어 어리둥절해진다. 결국 문제는 어떻게 정보를 조직하고 행간을 읽어내느냐의 문제이며, 이 문제에서 탁월한 경지를 보여주어야 학내언론이 살 길을 구할 수 있을 게다.

다 아는 이야기는 집어치우고, 이제 고대신문으로 돌아와 생각해보자. 나는 고대신문 사람을 붙잡고 고대신문의 논조가 무엇이냐고 물은 적이 몇 번 있었는데, 항상 “논조가 없음을 논조로 삼으며 정보의 전달을 최우선으로 삼는다”는 답변을 얻었다. 내가 보기에 이것은 순진한 거짓말이거나 치밀한 거짓말 둘 중 하나다. 전자는 내가 앞에서 늘어놓는 넋두리는 다 모르겠고 정보를 전달하는 게 제일 중하다는 입장일 게다. 정말 두려운 것은 논조가 없음을 포장하는 후자의 경우이다.

‘사실’은 그 생생함 때문에 높은 가치를 부여받는다. 기자가 직접 보았던 행위들, 사건들. 정세들의 서술은 신문에 담기에 부족함이 없겠다. 허나 그것이 당대의 모든 경험의 반영일 수 없으며, 나아가 저변에 놓인 구조적 연관에 이르지 못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겠다. 그렇다면 고대신문은 그 한계를 드러내고 “본질적인 것을 위해 당파를 취하며, 그것에 연관된 것을 고수”해야 할 터. 고대신문의 위와 같은 자세가 잡을 수 없는 객관에 다가섰다는 몽상인가 아니면 학생대중을 객관을 앞세워 제압하고 행간에 숨은 의도를 사태의 본질과 바꿔내는 모략인가. 고대신문이 객관을 이야기하기 전에, 객관을 향한 끝없는 도약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는 넋두리.

/김민재(문과대 사회05) 고대문화 편집장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