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바꾸는 기후·에너지 정책의 미래
제3회 충청권 연구기관·고려대 공공정책대학 공동포럼
협력 방식 바꾸는 AI 기술
기후 정의 위해 기술 활용 필요
“지역 공동체 지속 가능성 높여야”
고려대 공정대와 충북연구원이 주관한 제3회 충청권 연구기관·고려대 공공정책대학 공동포럼이 12일 세종캠퍼스 공공정책관에서 열렸다. 이번 포럼에서는 AI를 활용한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전수영 공정대학장은 “AI 기술이 사회 전반으로 확산하는 만큼 대학과 연구기관이 협력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설계해야 한다”고 했다.
손동현(성균관대 철학과) 명예교수는 AI가 인문사회 분야 교육·연구에 부과한 새 과제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AI 시대일수록 사고력과 도덕 판단을 강화하는 교육이 중요하다”며 “대학이 기술 훈련을 넘어 윤리와 사고력을 함께 기르는 공간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윤정 한국환경연구원 부연구위원은 AI가 환경 정책 의사결정 과정에서 수행할 수 있는 역할을 분석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사회 및 경제적 약자가 기후변화의 피해를 더 크게 입는다”며 “AI를 활용해 폭염, 집중호우 등 지역별 기후 취약성을 세밀하게 예측하면 공정한 정책 설계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연준(충북대 경제학과) 교수는 “AI 기술이 기후 정의의 원칙과 결합할 때 비로소 사회 전체의 회복력을 높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대표는 AI 산업 확산이 에너지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했다. 이 대표는 “2038년까지 국내 데이터센터 전력 사용량이 10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AI 발전이 기후 위기를 가속하지 않도록 재생에너지 확대와 효율적인 전력망 관리를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승호 충북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AI 기술을 활용한 지역 단위 에너지 자립 전략을 발표했다. 최 수석연구위원은 “지역 단위의 에너지 자립은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에 핵심 역할을 한다”며 “AI를 활용한 에너지 수요 예측과 효율적 관리 시스템이 지역 공동체의 지속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김수이(홍익대 상경학부) 교수는 “AI 기술을 에너지 정책에 활용할 때 단순히 효율성만을 추구해서는 안 된다”며 “지역 주민의 참여와 사회적 합의가 병행돼야 지속 가능한 전환이 가능하다”고 했다.
포럼을 참관한 홍지윤(대학원·빅데이터사이언스학부) 씨는 “인공지능이 단순 기술 발전에 그치지 않고 사회 전반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는 걸 알게 됐다”고 말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학생들이 행정, 데이터, 정치 등 다양한 학문이 융합되는 공간에서 최신 기술을 적극 활용해 기후 문제를 탐구하길 기대한다”고 했다.
글 | 김준환 기자 junanii@
사진 | 배은준 기자 agb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