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보다 안전·편의 공약 내세운 선본 ‘비범’
제38대 세종총학생회장단 선거 입후보자 정책토론회
건물 보수 및 흡연구역 정비
취업·제휴 지원 확대 공약도
예산 확보·세부 계획 물음표
제38대 세종총학생회장단 선거에 선거운동본부(이하 ‘선본’) ‘비범(정후보=오미령)’이 단독 출마했다. 18일 세종캠퍼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김진경)가 주최한 입후보자 정책토론회에서 오미령(글비대 중국학21) 정후보와 장선규(글비대 디지털경영23) 부후보는 학내 언론사별 질의와 현장 및 온라인 질문에 답했다. 투표는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오프라인으로 진행된다.
선본 비범은 농심국제관 주변 환경 개선을 핵심 공약으로 내세웠다. 장 부후보는 “파손된 농심국제관 지하 샛길 계단을 보수하고 건물 앞 비포장 공터를 포장할 것”이라며 “샛길 보수로 미끄럼을 방지할 뿐 아니라 CCTV, 조명 등 안전시설도 보강하겠다”고 했다.
구체적인 예산 확보와 세부 계획에 대한 논의는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 오 정후보는 “구체적인 예산 규모와 집행 계획은 논의된 바 없다”며 “공사의 필요성을 학교에 알렸다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고 학교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답했다.
학술정보원 흡연구역 재배치와 흡연 부스 설치도 약속했다. 흡연 부스가 휴식 공간과 가까워 비흡연자가 피해를 볼 수 있다는 KDBS의 지적에 “2층 통행로로 연기가 올라가 간접흡연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며 “휴식 공간과 멀어지도록 위치 조정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공사로 인한 소음 대책을 묻는 고대신문의 질문에 오 정후보는 “학술정보원은 도서관이기 때문에 소음에 민감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며 “공사 규모가 크지 않아 소음 피해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셔틀버스 노선에 정부세종청사 경유 코스를 추가하는 공약은 학생 수요부터 파악할 예정이다. 오 정후보는 “후보자 신분이기에 노선 신설에 관한 학생 대상 수요조사를 하지 못했다”며 “학생 활동 반경을 정부세종청사 근처 번화가로 넓히는 수요가 충분히 확인되면 학교 측에 협조를 요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화 관련 공약을 따로 마련하지 않은 이유를 묻는 고대신문 질의에 오 정후보는 “현재 연합선거본부의 각 단과대 학생회가 다양한 행사를 공약했다”며 “학생들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장 부후보는 “한정된 예산과 자원을 고려할 때 새로운 대규모 문화 행사를 기획하기보다는 현재 시급한 교내 공간 활용 개선과 안전 문제 해결이 우선순위라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선본 비범은 글비대, 공정대 학생회와 공동으로 대규모 취업 박람회를 개최하겠다고 약속했다. 유치 기업을 구체화했는지 묻는 고대신문 질의에 오 정후보는 “교내 경력개발센터, 취업센터와 협력해 다양한 분야의 기업을 유치하겠다”며 “세종특별자치시 내 공공기관과의 연계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답했다. 프로그램 세부 계획에 관해서는 “멘토링, 자소서 첨삭, 기업 설명회 등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했다. 서울 소재 기업을 유치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을 두고는 “충청권 지역에도 다양한 기업이 존재하므로 좋은 기업을 유치할 수 있도록 발로 뛰겠다”고 했다.
외부 봉사활동 단체와 연계한 사회봉사 프로그램에 관해서는 “학생생활지원팀과 협력해 행정적 지원을 확보하고 세종특별자치시 자원봉사센터, 사회복지협의회 등 공신력 있는 공공기관과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다양한 제휴 업체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 제휴 다각화 공약을 보완할 방안을 묻는 질문도 나왔다. 오 정후보는 “만약 제휴 업체를 확보하지 못하면 기존에 제휴한 기업과의 제휴를 연장하는 방안을 고려하겠다”고 답했다.
선본 비범은 부총장과의 간담회를 학기당 1회로 정례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총장이 아닌 부총장과의 간담회를 추진하는 이유를 묻는 고대신문 질의에 오 정후보는 “부총장님은 세종캠에 상주하며 현장 문제를 직접 관리하시기에 시설, 환경 개선 등 문제를 신속히 결정하실 수 있다”고 했다.
오 정후보는 세종캠 총학생회칙 전면 개정을 약속한 이유를 두고 “선거시행세칙에 따르면 각 선본의 사무장만이 선거 과정에서 이의제기를 할 수 있지만 사무장은 입후보자 최종 등록 후 확정된다”며 “이처럼 모순적인 회칙을 개정하고자 한다”고 했다. 이어 “온라인 의견 수렴, 회칙개정위원회 구성, 공청회 개최 등 민주적 과정을 밟아 개정하겠다”고 덧붙였다.
글 | 김준환·최소은 기자 press@
사진 | 배은준 기자 agb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