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재계 6위 포스코, 산재 명물 삼나

2025-11-23     고대신문

  ‘또’라는 수식어가 부족한 산업재해가 또 포항제철소에서 일어났다. 포스코그룹의 올해 일곱 번째 산재다. 20일 오후 2시경 청소 작업을 하던 하청업체 50대 직원 등 6명이 가스를 흡입해 병원으로 이송됐다. 사고 이튿날, 포스코는 포항제철소장을 경질하고 이희근 사장이 직접 나서 “철저한 반성과 근본적인 재발방지”를 약속했다. 

  지난 여섯 번의 약속은 모두 공수표였다. 당장 보름 전 포항제철소의 한 파손된 배관에서 누출된 불산가스에 하청업체 직원 1명이 숨지고 3명이 다치는 사고가 있었다. 배관 자체의 노후 부식이 원인 중 하나로 의심받는다는 점에서 이번 사고와 닮았다. 기간을 올해로 넓히면 3월 수리 작업 중 사망, 7월 작업 중 추락사까지 포스코의 사고 유형은 각양각색이다.

  7월 사고를 두고 이재명 대통령은 “아직도 이런 사고가 발생하나 생각이 든다”고 질타했다. 정치권의 강한 압박에 장인화 포스코 회장은 총력 대응을 선언하고 안전 전문 자회사까지 설립했지만 무용지물이었다. 

  일각에서는 위험의 외주화라는 구조적 문제를 지적한다. 국내 노동 현장의 고질적 문제가 맞지만 포스코에서만, 그것도 보름 만에 비슷한 사고가 반복하는 이유 전부를 설명할 수 없다.

  ‘피노키오’ 포스코는 산재 근절에 그룹의 명운을 걸어야 한다. 어떤 제재도 달게 받고 공정 과정과 노동 풍토 전반을 뜯어고쳐야 한다. ‘안전 혁신’이라는 선언이 또 말뿐이라면 자사 노동자의 다음 죽음을 예고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