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 앞 재개발 사업은 본교와 제기 5구역 재개발 반대주민위원회(위원장=정기섭), 제기 5구역 주택재개발조합설립추진위원회(회장=배석호, 이하 재개발 추진위) 등의 이해관계가 얽혀 5년째 준비단계에 머물러 있다. 지난 5월 서울시에서는 정문 앞 재개발 지역의 용적률 계산에서 일부 잘못된 부분이 있어 보완조치를 내렸다. 그러나 현재 재개발 추진위는 수정안을 재출하지 않은 상태다. 재개발 추진위 측 관계자는 “보완조치 내려진 것의 수정 자체는 어렵지 않으나, 고려대의 의견을 들으라는 조치 때문에 늦어지고 있다”며 학교의 구체적 대안 마련을 요구했다.

아직 재개발 사업이 확정되지 않은 현 시점에서 본지는 정문 앞 재개발 및 대학가 주변의 올바른 재개발 방안에 대한 의견을 본교 김세용(공과대 건축공학과)교수와 서울시립대 최근희(도시행정학과)교수에게 들어봤다.

정문 앞에서 추진 중인 고층아파트로의 재개발 사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최) 고려대가 재개발을 반대하는 주된 이유가 학교의 조망권 때문인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일부이기 때문에 큰 문제가 안 될 것이다. 또한 고층으로 지으면서도 녹지대를 많이 만들 수 있다면 바람의 흐름에도 문제가 없어 쾌적할 것이다.
김) 현행법과 재개발 사업성을 감안하면 고층아파트가 건립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고층아파트는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그동안 유지돼 왔던 본교 앞의 아름답고 조화로운 경관을 가릴 것이다. 둘째, 교통량이 늘어나 주위에 과도한 교통부하를 줄 것이다. 셋째, 고층아파트 개발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공간에서 학생들이 생활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할 것이다.

본교가 정문 앞 고층 아파트 재개발 사업에 반대하는 것은 재산권 침해로 볼 수 있나
최) 재개발은 법이 허용하는 한도에서 할 수 있으므로 고려대 측의 반대는 사유재산권 침해의 소지가 크다고 본다.
김) ‘재산권 침해’보다는 ‘일부 주민의 재산을 일시에 불릴 수 있는 기회의 침해’라는 표현이 적절하다고 본다. 정문 앞 거주민들 중에는 재개발에 반대하는 사람도 많고 재개발이 진행되면 어쩔 수 없이 정든 동네를 떠나야하는 사람도 많다. 즉 ‘재산권 침해’란 표현은 일부 주민만을 위한 것이지 주민 모두를 위한 것은 아니다.

대학가엔 어떤 방식의 재개발 사업이 적절한가
최) 고대구성원이 활용할 수 있는 재개발로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교수 아파트동, 학생을 위한 소형 아파트동 사업을 하는 것 등이 있다. 미국 사립대학은 대학 외부의 상가나 건물 등을 매입해 구성원에게 필요한 상가나 숙소 등으로 활용한다. 어차피 대학 앞이라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상가가 많이 만들어 질테니 이런 대안은 양측 모두 이득이 될 것이다. 다만 주민들의 동의를 구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다.
김) 본교에선 광역재개발을 원하고 있는데, 물론 광역재개발을 하면 지금보단 나은 개발안이 나올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한다 해도 재개발이 갖고 있는 주민재정착률 저조 등의 문제가 해결되진 않는다.

대학과 지역사회의 이상적인 발전방향은 무엇인가
김) 주민과 학생들이 공생하는 지역발전이 필요하다. 학생들을 위한 △원룸 △하숙 △기타 편의공간이 제공되고, 주민의 재정착률을 높일 수 있는 개발방식이 도입되어야 한다. 또한 주민들과 학생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공간과 생활시설이 들어와야 한다.

 

신동민 기자, 김이슬 수습기자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