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언론, 지역신문이 한없이 작아지고 있다. 지역신문이 지역주민들과 함께 숨 쉴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작은 언론이 희망이다>의 저자 장호순(순천향대 신문방송학과)교수에게 지역신문의 미래에 대해 들어봤다.

지역신문이 여론의 장으로서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 독자와의 소통은 어떻게 해야 하나
지역주민들이 참여하는 신문을 만들어야 한다. 지역신문은 지역공동체라는 공동의 요인으로 엮여 있어 독자의 이해관계나 관심사가 비슷한 편이다. 이들에게 신문제작에 관한 의견을 듣고 실제 제작에 참여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기사를 쓰거나 투고하는 방법보다는 독자인터뷰나 독자한마디 코너 등을 통해 독자들이 신문 제작에 쉽게 참여하게 하고, 이를 기사화하거나 편집하는 방식이 좋다.

지역신문과 생활정보지 혹은 무가지와의 차이가 흐려지고 있다. 정체성 확립이 시급한데
대도시 지역에선 생활정보지와 무가지가 대량 유통되고 있어 유료 지역신문의 입지가 더욱 좁아지고 있다. 그러나 생활정보지와 무가지엔 지역뉴스가 거의 없다. 현재 지역에 관한 뉴스를 가장 많이 전달하고 있는 매체는 지역신문이나, 지역주민들이 지역신문을 외면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지역신문이 단순히 경제적 이익을 위해 발행하는 신문이 아니라 지역공동체의 이익도 동시에 추구한다는 것을 지역주민들에게 각인시켜야 한다.

일부 지역신문 사주들이 사익을 위해 언론 권력을 악용하기도 한다. 조치가 필요하지 않나
신문발행의 자유는 헌법에 보장된 기본권이므로 법적으로 금지할 수는 없다. 그러나 신문사주가 현행법에 위반되는 행위를 할 경우 엄격하게 처벌해야 한다. 역대 정부는 이들의 불법행위를 묵인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점차 달라지는 추세다. 2004년 제정된 지역신문발전지원법은 신문사주나 임직원이 신문과 관련해 불법행위를 저지르면 정부의 지원을 받지 못하게 규정하고 있다.

대다수의 지역신문이 재정난을 겪고 있다. 광고 수주를 원활히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
전국지는 대기업 브랜드나 상품광고 위주인 반면 지역신문 광고는 특정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유통서비스업 광고가 대부분이다. 원론적인 대답일지 모르겠으나 기업의 협조를 유도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지역매체로서 신뢰도를 높이고 발행 부수를 늘리는 것이다.

지역 간 지역신문 구독률이 크게 차이난다.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지역신문이 모두 동일한 규모나 수준일 필요는 없다. 지역의 규모나 산업적, 문화적 특성에 따라 필요한 규모의 지역신문이 다르기 때문이다. 부산이나 대구 등 대도시에는 수십 만 부를 발행할 수 있는 지역일간지가 필요하다. 반면 인구가 적은 농어촌 지역에는 1000여 부를 발행하는 주간지만으로도 충분하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