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70년대와 80년대를 거치면서 대학생은 민주화 운동의 주체로서 역할을 이어왔다. 1960년 발생한 4·19 혁명에서부터 64년 6·3사태를 거쳐 70년대 긴급조치시대가 왔고, 80년대는 서울의 봄이 87년에는 6월 항쟁이 계속됐다. 기성세대들이 6·25 전쟁을 겪으면서 국가정책에 쉽게 저항할 수 없었던 것과는 달리 대학생은 ‘깨어있는 지성인’을 부르짖으며 사회개혁에 앞장섰다.

해방 이후, 대학생 주도로 일어난 첫 시위는 4·19 혁명이다. 이승만의 장기집권을 위한 부정선거를 규탄하며  일어난 3·15 의거에서 실종됐던 김주열 군의 시체가 1960년 4월 11일 마산 앞 바다에서 발견되면서 학생들을 비롯한 국민들의 분노가 커져갔다. 마침내 이에 분개한 본교생 3천명이 시위를 벌이고 돌아오는 도중 정치 폭력배에게 습격을 받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다음날인 4월 19일 전국 대학생들이 총궐기하는 촉매제가 됐다.    
 
이승만 정권이 물러나고 1970년 박정희 정권 하에서도 대학생들의 저항운동은 그치지 않았다. 지난 1974년 1월 8일 대통령긴급조치 제1호가 선포된이래 1만 2159일 간을 초헌법적인 긴급조치에 의해 국민의 자유는 완전히 억압됐다. 지난 1975년 4월 8일 약 2천명의 본교생이 모여 〈석탑선언문〉을 뿌리며 ‘민주헌정회복’등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다 긴급조치 7호에 의해 휴교령이 내려지기도 했다. 같은해 5월 13일 긴급조치 1호부터 7호까지 ‘그 모든 조치의 내용을 하나로 집대성하여 선포’한 긴급조치 9호는 1979년까지 모두 580명의 학생들을 잡아들였다.

1980년 5월 18일은 학생운동의 전환기를 가져온다. 폭동에서 항쟁으로 또 민주화운동으로 그 이름이 바뀌는 동안 대학생들은 공개 장소에서 집단행동을 할 수 없었고 전국 대학은 신군부에 의해 장악됐다. 또한, 1980년 봄에 활동하던 민주화 운동과 노동 운동, 학생운동의 주자들은 체포돼 삼청교육대를 가야했다. 지난 1979년 박정희 전 대통령이 저격 당하면서 공개적인 학생조직이 부활했으나, 12·12사태로 정권을 잡은 전두환의 5.17 쿠데타 이후 ‘학도호국단’이라는 관제(官制) 조직으로 대체되고 말았다.

1987년 6월 민주화 항쟁의 중심에도 대학생이 있었다. 경찰조사에 따르면 84년부터 학원자율화와 독재정권 퇴진 등을 요구하며 화염병이 처음으로 등장해 <6·29선언>이 있던 87년에는 338일 동안 1만2967건의 시위가 발생하고, 314만 5천여 명이 참가하는 등 가장 격렬한 시위양상을 보여줬다. 6월 항쟁을 가리켜 전명혁(민주화 운동 기념사업회) 과장은 “대학생이 발발시킨 현대 운동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항쟁”이라 평가했다.

한편, 6월 항쟁을 계기로 대학생이 중심이었던 사회운동이 점차 대중화되면서 대학생 운동은 주로 학내문제를 다루는 운동으로 변화한다. 1980년대 총학생회는 주로 앞으로의 사회를 이끌어갈 ‘예비지식인 집단’으로서의 책무에 역량을 집중했다.

 90년대 이후 학내 문제에 중심을 두게 된 대학생의 운동은 대중적인 모습을 잃어가게 된다. 이러한 변화를 전문가들은 1990년 초 동구와 소련의 몰락으로 맑스주의의 이념 혼란이 초래되자 학생운동의 사회과학 틀이 붕괴됐기 때문으로 본다.
 
정태헌(문과대 한국사학과) 교수는 운동권의 변화에 대해 “ 과거 지적 수준이 높고 사회 개선의지가 높은 대학생이 상대적으로 주축이 됐으나 90년대 시민운동이 정착되자 학생의 역할이 줄었다”고 평가하며 “이는 민주화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90년대 중반 이후 학생의 사회참여는 인터넷 매체나 시민단체를 통해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학생보다 더 전문적인 지식을 함양한 시민단체가 적극적으로 사회문제를 제기했고 대학생들 또한 이에 동참하는 식으로 활동하고 있다.

과거, 대학생은 시대를 주도하는 주체로서 우뚝 섰다. 사회의 변화에 발맞춰 걸어오며 지식인으로서 역할을 지켜온 대학생은 앞으로도 현대 사회에서 대학생이라는 위치에 대한 고민을 끊임없이 해나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