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교는 2030년까지 비전 2030에 따라 △장학금 지급율 50%(2008년 28%) △기부금 약 8000억원(2008년 1200억원) △예산 3조 1000억원(2008년 7750억원) 등을 목표로 한다. 지난해 1200억원이었던 기부금을 2030년 약 8000억원까지 끌어올리려면 기부금이 매년 300억 이상 증가해야 한다.

본교는 기부금의 증가, 더 나아가 재원을 늘리기 위해 지난달 12일 ‘고려대학교 발전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정진택 대외협력처장은 “비전 2030에 따라 발전계획을 구체화해 적극적․체계적으로 발전기금을 유치할 필요가 있다”며 “기부금을 포함한 재원에 대해 그동안 본교가 산발적․개별적으로 접근했다면 이젠 △교육 △인프라 △교수진 △연구 항목별로 체계적으로 예산을 구성해 펀드레이징(fundraising)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학내에 기부금을 무조건 증가시키는 데만 주력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송창석(사범대 역교08) 씨는 “기부금을 증가시킨다고 해도 특정 인기학과에 기부금이 몰릴 가능성이 크다”며 “기부금을 각 단과대에 균형 있게 지급하고 민족고대라는 이름에 맞게 한국학 같은 순수학문에도 지원하여 비전 2030의 가치를 높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본교는 연구성과 활용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2020년까지 수익사업으로 매출 1조원을 달성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이를 위해 지난 9월 25일 산학협력 기술사업화 전문회사인 ‘고려대학교 기술지주회사’를 설립했다.

본교 교수․연구부문은 일부 대학평가에서 낮게 평가됐는데, 이는 교수․연구부문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산학협력단과 기술지주회사 수준이 경쟁 대학보다 뒤쳐져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연구비 대비 지식경제부 지원금 액수를 살펴보면 △본교 1727억원 중 264억원(15.3%) △연세대 2445억원 중 378억원(15.5%) △한양대 1548억원 중 330억원(21.3%) △성균관대 1795억원 중 275억원(15.3%)으로 지원금 액수가 적은 편이다. 김영근 산학협력단장은 “본교가 타대학보다 대형 연구 과제를 할당받지 못했기 때문에 지원액수가 적다”며 “앞으로 산학협력단 및 기술지주회사는 공격적인 태도로 세계일류대학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본교의 수익사업노선을 우려하는 시선도 있다. 본교 강수돌(경상대 경영학부) 교수는 “기술지주회사의 초점을 어디에 두느냐가 중요하다”며 “대학의 수익사업이 단지 돈벌이 사업에 그치지 않으려면 대체에너지나 식량위기의 대안을 제시하는 기술 등 사회가 직면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발굴하고 개발하는 방식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본교는 올해 초부터 자율예산제도를 운영해 각 단과대별 학장들에게 예산과 인사권을 위임하고 있다. 각 단과대가 발전계획에 따라 자율적으로 예산을 사용해야 한다. 자율예산제도엔 △특별연구비 지급 △승진제도를 반영한 보수 책정 △연구 및 논문 작성에 대한 인센티브 지급 등이 포함돼 있다. 이에 대해 김태일(정경대 행정학과) 교수는 “자율예산제도는 단과대 간의 경쟁을 부추겨 행정적 효율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며 “그러나 각 단과대의 학문 특성을 무시한 채 수치 위주로 비교하는 것은 사회적 수요가 높은 단과대에게 유리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