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대학이 있는 케임브리지를 떠나온 지 아직 얼마 되지 않아 유학기를 쓰며 추억하기는 실감이 나지 않는다. 그러나 갑자기 그립기도 하고 그런 시절이 있었나 할 정도로 오랜 일로 느껴지기도 한다. 아마도 즐거운 일과 힘들었던 시간이 중첩되어 그런 것 같다. 미국의 도시이지만 유럽풍이 엿보이는 보스턴과 찰스강을 경계한 케임브리지는 그 규모는 작지만 하버드를 위시한 명문 대학들이 모여 있는 도시다. 나는 하버드대 박사과정에서 철학공부를 시작하게 되었는데 사실 유학생활의 특별한 에피소드, 특히 이 글을 읽는 독자들에게 흥미가 될 만한 얘기를 전하려는 소망은 난감해진다.

처음 보스턴 로건 공항에 도착해 하버드를 찾았을 때의 기쁨은 대단했지만 막상 학기가 시작하자 밀려드는 공부의 양 때문에 나는 한마디로 지옥으로 떨어지는 기분이었다. 수업은 많지 않았지만 대신 강도와 밀도, 그리고 숙제와 페이퍼의 양은 실로 상상하기 힘든 수준이었다. 이러한 생활을 2년여 거친 후 어느 정도 적응이 되었나 싶었는데 이제는 학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티칭을 하게 되었다. 그 똑똑하다는 하버드대 학생들을 두고 나 같은 외국인이 영어로 강의를 하는데 미국인들의 문화 특성상 그들은 나를 아무렇지 않게 생각할지 몰라도 내 스스로 외국인이라는 스트레스가 나를 괴롭혔다. 최선을 다한 준비와 노력으로 수업에 임하니 나에 대한 학생들의 신뢰도 쌓아져 가 잘 버틸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노력과 진정성의 가치를 경험한 것은 내 인생의 큰 자산이라고 생각한다.

하버드 철학과는 콰인, 롤즈, 그리고 퍼트남 등을 위시하여 1960년대 이후 영미철학의 주된 흐름을 주도해온 철학과 중의 하나이다. 철학사를 중시하고 비자연주의적 성향이 강하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전통을 가지고 있다.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는 철학과가 독립적으로 4층짜리 건물을 사용하고 전용 도서관도 있어서, 연구에 필요한 조건들이 최상으로 갖추어져 있다. 더불어 공부에 도움이 되었던 것은 이름만 알고 있었던 유명한 학자들을 직접 만날 기회가 많았다는 점이다. 하버드 철학과는 매달 이른바 학문적으로 뜨는 소장학자를 불러 발표회를 갖고, 그리고 봄 학기가 끝나는 5월에는 저명한 학자를 초청하여 강연회를 연다. 이러한 기회를 통해 갖게 되는 학문적 소통이 철학 연구에 매우 중요한데, 이는 한국의 사정에 비춰보면 부럽게 느껴지는 것 중의 하나이다.

나는 롤즈의 철학적 정신을 이어오고 있는 스캔런 교수를 지도교수로 정하고 윤리학에 관한 박사논문을 완성하였다. 그는 나의 논문의 각 챕터들을 꼼꼼히 검토해주었는데 한번은 바쁜 일정 가운데도 미팅 바로 전 영국에서 돌아오는 비행기 안에서 읽어줄 정도로 학생의 지도에 큰 열성을 보여주었다. 스캔런 교수는 본인이 이미 영어권에서 대가의 위치를 점하고 있지만 실로 매우 겸손한 분이다. 이분의 학문적인 탁월함으로부터 당연히 많은 것을 사사받았지만, 박사논문을 마무리하면서 젊은 철학도의 거친 열정이 넘치던 나에게 그의 겸손한 성품은 학문과 다른 또 하나의 가르침이었다. 앞으로 설익은 학문적 성과를 앞세워 자만할지도 모를 나에게 지도 교수의 인격은 하나의 죽비로 쓰일 것 같다.

학위를 마치면서 박사과정이란 장차 독립적인 연구자로서 활동하기 위한 준비과정이라는 점을 새삼 깨달을 수 있었다. 졸업과 동시에 필드로 나가 학생들을 지도하고 논문을 써야하는 전문 철학자로서의 ‘의무’를 잘 감당하기 위한 산고인 것이다. 이러한 트레이닝을 때로는 지나칠 정도로 꼼꼼하게 받을 수 있었던 하버드에서의 시간은 철학을 업으로 삼은 나에게는 너무나도 소중한 자산이자 삶의 지침이 되었다.

하버드에서의 유학생활은 나에게는 가슴 깊이 담겨진 하나의 러브스토리다. 내가 공부하는 전공의 유수한 전통을 사랑할 수 있었고, 나의 공부를 지도해 준 여러 스승과 프로그램들을 사랑할 수 있었다. 아마도 나의 인생에서 앞으로는 다시 경험하지 못할 그런 고유하고 소중한 모든 것들과의 사랑이었는지도 모른다. 이제 그렇게 배운 것들을 통해 높은 수준의 연구를 지향하고 학생들을 정성껏 지도하는 빚만이 남아있다.

성창원 문과대 교수·철학과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