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미필이다. 이미 병역을 마친 주변의 친구들을 보면 거기도 사람 사는 곳이구나, 하는 생각은 들지만, 그래도 논산으로 가는 초시계가 째깍거리니 새삼 초조함을 느끼며 군 문제에 관심을 두지 않을 수 없다. 최근 군대에 관한 이슈 중 가장 화제에 오른 것은 단연 드라마 <D.P.>일 것이다. <D.P.>는 군 내 부조리를 신랄하게 재현하며 사회문제를 예리하게 짚어냈다는 호평을 받는다. 그러나 드라마 속 조명되고 있는 군대 내 위계질서, 폐쇄성, 폭력의 공포는 미필인 나에게도 사뭇 익숙하게 다가온다.

  감사하게도, 초중고를 거치며 따돌림의 대상이 된 적은 없었다. 하지만 몇몇 무서운 장면을 접한 적은 있었고, 개중 개입할 여지가 있었을지 모르겠으나, 용기를 낸 적은 없다. 그렇게 주변부에 머무르며 마치 필수교양처럼 공포와 비굴을 체화했다. 조건은 많이 다르지만 군대도 이와 같지 않을까 생각한다. 고참의 ‘정당한’ 권리 행사에 신병은 자신의 소중한 가치를 두고 순응과 (대개 끝이 좋지 않은) 저항의 갈림길에 억지로 세워진다. 시험에 드는 것은 그뿐이 아니라서, 아직 ‘짬’이 차지 않은 제삼자도 자신의 양심을 걸고 방관과 (역시 대개 끝이 좋지 못한) 개입의 사이에서 저울질해야 한다. 사회가 정지한 곳에선 모두가 피해자 또는 가해자가 되는 끔찍한 선택을 강요받는다. 그리고 그 순간은 결코 지워지지 않을 것이다.

  이처럼 군대의 문제는 병영 내에 국한되지 않는다. 흔히 한국의 병영 부조리가 고질적인 이유 중 하나로 ‘목소리를 낼 당사자가 적다’는 점을 꼽는다. 분명 군필자나 여성이 곧바로 와닿지 않는 군 문제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기는 쉽지 않을테다. 하지만 이전 변희수 하사의 건이나 숱한 군 내 성폭력 사건을 생각하더라도 여성이 군대와 무관하다고는 생각할 수 없다. 또한, 전역한 사람 역시 괴로운 피해와 가해의 기억을 온전히 회고하기 위해선 군 문제를 지나간 일로만 다뤄선 안 된다. 그리고 무엇보다, 한국의 군대는 사회의 모순이 집약되고 발산하는 주요 지점이다. 한국에선 사회가 군대의 확장판이다. 따라서 병영 부조리의 문제가 외면된다면, 우리 사회의 갑질과 서열 문화도 결코 해소되지 못할 것이다. 사회의 적극적인 관심과 개입이 필요하다.

 

문석민(문과대 사회19)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