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4일이면 이제 601회 수요집회가 열린다. 일본대사관 앞에서 매주 수요일에 열리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수요시위’가 12년의 세월이 흐른 것이다. 하지만 지난 17일 600회째가 되서야 일본대사관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의 요구사항이 담긴 공식문서를 처음으로 접수했다.

수요집회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개인의 과거사가 아닌, 일본 제국주의가 저지른 인권범죄라는 국민적 인식을 이끌어냈다. 국제사회에서도 영향을 미쳐 1998년 8월 유엔 인권소위원회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 배상을 요구하기도 했다. 그러나, 위안부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던 일본 정부는 1993년에야 비로소 정신대 모집 과정에서의 국가 개입을 인정했다. 하지만 1965년 한ㆍ일협정을 들어 국가 차원의 배상은 거부하고 있다.

지난 1992년 수요시위를 시작할 때만해도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는 212명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132명만이 남아 위안부 시절 겪은 피해의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 이들 할머니들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정부 당국 의 무관심에 항의하며 지난해 10월 청와대에 ‘국적포기서’를 제출하기까지 했다.

지난  2001년 보스니아 전범처리를 위한 유엔 전범재판소는 여성들을 조직적으로 성폭행한 세르비아 군인 3명에게 중형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인간 존엄성의 마지막 흔적마저 강탈당하고 가축처럼 취급당했다’고 설명하면서 인간양심의 회복을 촉구했다.

어느새 ‘종전 60주년’이 다가오고, 이제는 전쟁의 기억마저 사라지고 있다. 일본의 정부는 역사적 양심에 눈을 떠 위안부 문제의 해결과 사과에 나서야 한다. 그리고, 정부 당국도 위안부 문제에 적극적으로 임해야 할 것이다.도대체 언제까지  할머니들의 피맺힌 울부짖음을 외면할 것인가.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