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12일 오후 7시, 세종총학생회(회장=김진경, 이하 ‘세종총학’)는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관련해 학생총회를 소집했지만, 개회 정족수를 채우지 못해 학생집회로 변경됐다. 학생집회에서 논의한 결과에 따라 12월 22일 후속조치위원회(위원장=김시화)가 출범했으나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세종총학생회칙 제2장 의결기구 제1절에 따르면 학생총회는 초과학기 재학생 및 휴학생을 제외한 재학생의 20% 이상이 참석해야 개회할 수 있다. 소집일 기준 1168명 이상이 참석해야 했지만, 참석 학생은 200여 명에 불과해 개회하지 못하고 학생집회로 변경됐다.
학생집회에선 학생 자유 의견 개진 및 김진경 세종총학생회장과의 질의응답이 진행됐다. 후속조치위원회 설치도 결정됐지만, 총회가 아닌 집회 결정만으론 정당성과 대표성을 확보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후속조치위원회는 대표성 확보를 위해 이달 5일까지 온라인 학생 동의 서명을 받았으나, 역시 개회 요건에 미치지 못하는 248명만 참여했다. 서울 집회 참석 및 지원 활동도 예산 부족과 동의 학생 부족으로 실현되지 못했다. 김시화 후속조치위원장은 “후속조치위가 대표성을 갖춘 독립기구가 아니기에 예산을 받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학생총회 좌절 원인을 두고 다양한 진단이 나온다. 박정윤(과기대 전자정보22) 씨는 “시험 기간과 겹쳐 학우들이 참여를 망설였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경 총학생회장은 “비상계엄령이 바로 해제됐고, 정치적 중립이 화두에 올라 학생총회 개의 결정이 지연됐다”고 말했다. 한지민(공정대 정부행정24) 씨는 “계엄 선포 후 일주일이나 지난 시점에 열린 것으로 보아 학생총회가 총학생회의 의지보단 타 학교들이 시국행동을 하는 상황에 떠밀려 개회됐다고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후속조치위원회의 활동에 관한 의견도 나왔다. 김범석(공정대 정부행정24) 씨는 “학생들이 위원회의 활동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SNS 등을 운영한다면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박효빈·호경필 기자 pres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