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고대신문은 수습기자모집을 위한 특집호로 꾸몄다. 신입기자 모집을 위해 이만큼 지면을 할애한 건 아마도 고대신문 역사상 처음일 것이다. 혹자는 특집호까지 만들 필요가 있냐고 묻는다. 구차해 보인다고 한다. 하지만 동아리가 겪고 있는 신입부원 모집난이 고대신문이라고 예외는 아니다. 수습기자모집특집호는 이런 고민으로부터 시작했다.

고대신문 선배를 만나면 과거 ‘대단했던’ 시절 얘기를 듣는다. 경쟁률이 수 십대 1에 달했고, 고대신문이 학내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했었다는 이야기들. 지금은 ‘고대신문을 읽는 사람도 있나?’라는 얘기할 정도로 신문의 위상은 그때만 못하다.

열심히 양질의 신문을 만들면 독자 수도 덩달아 늘어날 거라고 생각했다. 착각이었다. 고대신문의 책임과 역할은 학내소통인데 귀는 닫은 채 입만 열었다. 고대신문은 학교와 학생사회가 소통하지 않는다고 비판하면서 정작 스스로는 소통하려는 노력을 소홀히 했다. 누구보다 학내사회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하지만 고대신문은 ‘정보의 중심’보다 ‘정보의 변방’에 가까웠다.

현재 일하는 기자들은 물론 그동안 신문을 만들었던 기자들 모두 어떻게 하면 좋은 대학신문을 만들까 고민하고 또 고민했다. 결론은 학내언론만이 다룰 수 있는 주제를 담아내자는 것이었다. 어떤 때는 스스로 만족스러운 신문을 만들기도 하고 어떤 때는 아쉬운 신문을 만든다. 결과에 상관없이 어느 쪽이든 배부대에는 항상 신문이 가득 쌓여있다. 우리가 만족하는 것, 혹은 아쉬워하는 것보다 독자가 어떻게 느끼는 지가 더 중요하다는 걸 깨닫는다.

이번 주부터 고대신문 기자들이 직접 월요일 아침에 신문을 들고 학생들에게 다가간다. 직접 발 벗고 나서는 것에 대해 고대신문의 격을 걱정하는 이도 있다. 하지만 점점 멀어져가는 독자들에게 고대신문은 더욱 다가서야 한다. 누구를 위해 신문을 만드는 것인지, 왜 신문을 만드는 건지 다시 생각해본다. 작지만 우리로선 잊고 있었던 소통을 뒤늦게 시작한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