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구는 먹거리 사회학 분야 최초로 전국 단위 면접조사를 실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김 교수는 “학계 최초로 시도해 방향성을 설정하기 힘들었지만, 자유롭게 연구 할 수 있어 좋았다”고 말했다. 심포지엄에서 발제했던 한국사회연구소 소속 김선업(문과대 사회학과) 교수를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김선업 교수(오른쪽)가 문과대에 있는 한국사회연구소에서 강홍순 기자와 인터뷰하고 있다. (사진 | 손민지 기자 marie@)

이번 학술심포지엄의 의의는
분야가 다른 SSK(Social Science Korea) 소속 2개의 연구팀(SSK 먹거리불평등, SSK 건강불평등)이 비슷한 주제로 함께 발표했다는 점이다. SSK는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사업으로, 우수 연구 집단 육성을 통해 한국 사회에 대한 특성을 규명하고 사회과학 연구의 증진과 학문적 자생력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SSK에 소속된 팀들의 개성이 뚜렷해 함께 할 기회가 별로 없었는데, 연구재단에서도 이를 적극 권장하고 있다.

먹거리 사회학의 등장배경은
먹거리 사회학의 개념은 아주 오래전부터 있었다. 먹거리란 인간의 생존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부분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로 먹거리가 학문의 영역으로 들어온 것은 최근 일이다. 그동안 너무 친숙해서 학문으로 접근하지 않았다. 최근 광우병 파동이나 중국산 먹거리의 불안정성 같은 상황과 맞물려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먹거리 사회학이 재조명받고 있다.

최근 이슈가 됐던 무상급식논쟁을 먹거리 사회학 관점으로 본다면
작년 무상급식에 대한 논의가 본질은 왜곡된 채 정치적인 논쟁으로만 번졌다. 초등학생에게 무료로 급식을 제공한다는 점은 좋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로 인해 음식의 질이 낮아져서는 안 된다. 나아가 초등학생의 건강을 위해, 현재보다 식습관 교육도 강화해야 한다.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이미 체계적으로 진행되는데 우리나라는 너무 부실하다. 너무 형식화돼 식습관 수업을 대단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원산지 교육, 알맞은 영양소 교육 등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한국의 먹거리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한국의 먹거리 정책은 걸음마 수준이다. 현재 국민은 중국산 음식의 위생이나 원전 폭발 이후 일본 식품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 국가는 안정성이 보장된 먹거리를 국민이 확보하도록 수입품에 대해 확실한 기준을 가지고 엄격한 정책을 취해야 한다. 또한 먹거리 유통 과정도 개선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유통 과정에 불필요한 금액이 많이 들어 공급가와 소비가가 큰 차이를 보인다. 이는 보다 많은 사람이 질 좋은 음식을 공급받지 못한다는 측면과도 일맥상통하고 질적 측면에서 먹거리 양극화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공급자와 소비자를 직접 이어 주는 직거래 장터가 현재로선 최선의 대안이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