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冬至)ㅅ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여/ 춘풍(春風) 니불 아레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임을 기다리는 여인의 간절한 마음을 비유를 통해 노래한 이 시조는 역대 기생들 가운데 가장 유명한 황진이의 작품이다. 천민이었음에도 오늘날까지 황진이가 빼어난 여류시인으로 인정받는 데에는 기생이라는 그녀의 신분이 크게 작용했다. 그들은 판소리, 가야금, 궁중무 등을 배우기 위해 혹독한 훈련을 거쳐 예술적 재능을 선보였고, 지식인 남성들을 상대할 만한 지적 능력을 갖췄다.
 
‘고려사’에 따르면 고려 태조 때 백제 유민들 중에 외모가 특출나고 재주가 있는 여성을 뽑아 가무를 배우게 한 것이 기생의 기원이라고 한다. 그들은 팔관회와 연등회, 채붕과 같은 행사나 외국 사신을 응접하는 자리에 동원됐다. 조선시대에 들어서 기생제도가 발전해 자리를 굳혔고 기생이란 용어도 조선 영조 때 처음 쓰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기생이라 하면 조선시대의 기생을 지칭한다.
 
 조선시대 기생은 크게 관기(官妓)와 사기(私妓)로 나뉜다. 우리가 알고 있는 명기는 대부분 관기이다. 그들은 각 지방에서 뽑혀, 궁중의 음악과 무용을 맡아보던 관청인 장악원에 소속됐다. 그리고 그 곳에서 기생이 되는데 필요한 언어, 동작, 음악, 서화 등을 익혔다. 관기 가운데 따로 지방의 관기를 향기라 불렀는데, 이들은 대개 부모가 관기이기 때문에 자신도 기생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나라의 큰 잔치인 진연·진찬·진작 때는 많은 향기들이 노래와 춤을 연주하기 위해 상경해서 경기와 함께 잔치행사를 치르고 다시 귀향했다.
 
 기생은 일패·이패·삼패로 등급이 나뉘었다. 일패란 궁중에서 여악으로 어전에 나아가 가무를 하는 일급기생을 일컬었는데, 이들은 높은 지위를 누리고 있었다. 이패는 관가나 재상집에 출입하는 급이 낮은 기생으로 은군자라고도 한다. 겉으로는 기생의 품위를 유지하면서 숨어서 매음하는 기생으로 대개 이들은 관리의 첩이 되곤 했다. 삼패는 탑앙모리, 유녀라고 불렀는데 몸을 파는 술집작부를 말하는 최하류 기생으로, 대부분 사기들이었다. 손님을 접대할 때 잡가 등을 부르기도 했으나, 일패기생의 가무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보잘 것 없는 수준이었다.
 
 한편 병을 진찰하는 의녀와 궁중에서 대궐의 의복을 짓는 침비도 연회를 위한 ‘기생’의 역할을 겸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들은 각각 약방기생, 상방기생으로 불렸는데 양방기생은 재상이 되는 것보다 어렵다고 해서 기생재상이라 불리기도 했다. 이들의 지위는 상대적으로 매우 높아 나중에는 ‘정3품’ ‘종4품’ 등과 같이 관직명이 붙는 기생도 있었다.
 
 조선 후기부터 사회가 불안해지면서 기생과 창부의 구분이 모호해지기 시작했고, 본격적으로 관기의 전통이 변질되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부터이다. 1909년 "관기제도"가 폐지되고 매춘이 합법화되면서 누구나 돈만 있으면 기생을 찾을 수 있었다. 또 하류 기생들이 창녀화되는 바람에 전통기생 전체가 사회적 경시의 대상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러한 과정속에서도 기생의 전통을 이어가기 위한 노력은 계속됐다. 한일합방 이듬해인 1911년 조선정악전습소에서 기생들에게 노래와 춤을 가르쳤다. 이것이 우리나라 기생조합의 효시인 다동조합이며 이러한 기생조합은 이후 곳곳에 생겨난다. 그러나 기생조합은 조선총독부에 의해 명칭이 일본식 교방의 이름인 권번으로 바뀌어 기생 양성의 목적이 상품의 매매로 변질됐다.
 
 해방 후 기생을 매춘부와 같은 공창으로 취급을 하는 미군정에 의해 전통기생의 존재는 부정됐다. 기생의 재생산 구조는 완전히 파괴되고 그 후계는 거의 단절되고 말았다. 다만 진주에서 그 명맥이 이어졌다. 논개의 제향을 받드는 늙은 기생들에 의해 의기창렬회가 결성되고, 권번출신의 퇴기들에 의해 무용연구소가 생겨나 진주교방의 악가무를 겨우 이어갔다. 그 결과 진주검무가 1967년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제12호로 공인받음으로써 기생문화의 전승구조가 갖춰졌다.
 
 기생은 남성 중심의 사회였던 우리의 역사에서 여성의 중요한 자취를 찾아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또한 전통문화의 계승자로서 예술과 문화발전에 공헌했다 이에 ‘나, 황진이’를 쓴 소설가 김탁환씨는 “기생은 평생 자기완성을 추구한 예술가로 1910년대까지는 음악, 춤, 시와 문장에 이르기까지 독자적인 위치를 인정받았다”고 평가한다. ‘말을 알아듣는 꽃’, 해어화라 불리던 기생은 이제 사라졌다. 하지만 시대와 제도가 허락지 않았던 그들의 예술적 재능과 황진이의 고고함, 논개의 애국심과 홍랑의 절개 등의 상징적인 이미지는 현대인의 머리 속에 남아있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