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공주국립박물관에서 국보 247호 금동보살입상 등 문화재 3점이 탈취당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이 사건을 계기로 우리나라의 문화재의 관리와 보호의 취약성이 다시 한번 드러나고 말았다. 먼저 정부의 문화재 관리정책을 비판하기 앞서 본교의 박물관의 보안과 관리에 대한 점검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본교 박물관에는 3점의 국보 문화재를 비롯해 고고자료·역사자료·교사자료 등 10만 여점이 보관되어 있다. 또한, 국내의 대학박물관 중 가장 오래된 역사를 지니면서 국내 대학박물관 정책의 준거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이라크전에서 바그다그 박물관에 소장된 인류유산들이 자국민들에 의해 내지는 계획된 범죄자들에 의해 약탈당했다는 소식은 세계인들에게 큰 충격이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문화재 관리수준도 이에 못지 않게 국민들의 선의(善意)에만 의존하며 제대로 된 설비와 운영체계를 갖추지 못한 채 유지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가에 의해 관리되는 것이 이럴진대 사찰·서원·종가 등에 산재한 문화재에 대해서는 물어볼 필요도 없을 것이다. 언론매체 등을 통해 사찰이나 서원에서 발생한 문화재 도난 소식을 종종 들을 수 있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지난해 관련법의 개정으로 국내에서 문화재 절도 사건의 공소 시효는 사실상 사라졌다. 또한, 유명 유물이 국내에서 거래될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외국으로 밀반출될 가능성은 상존한다. 21세기를 문화의 세기라 하면서도 이미 소장한 문화재에 대한 관리와 보호가 허술한 국내의 문화행정은 획기적으로 개선돼야 한다. 그래서, 이번 사건을 문화재의 보호수준을 한단계 높이고, 문화재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을 높이는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