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노무현 대통령의 발언을 확인하겠다며 여당의원들이 대통령기록관으로 몰려가는 소동을 벌였다. 그리고 덕분에 이명박 정권이 남길 기록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조영삼 한신대 교수가 ‘국가기록관리 발전을 위한 정책 제안’이란 논문을 통해 밝힌 바에 따르면 노무현 정부 5년간 종이기록 21만여 건을 생산했지만 이명박 정부는 임기 초중반 3년간 6342건을 생산하는 데 그쳤다. 전자문서 역시 같은 기간 동안 참여정부가 47만여 건을 생산한데 비해 이명박 정부는 8만여 건을 생산했다. 기간 차이를 감안해도 그 격차는 상당해 보인다.

현 정부에 들어 국민의 알 권리가 악화된 것은 충분히 체감되었지만, 그 이면에는 기록 의무의 해태가 있었다. 어찌보면 아귀가 맞아 보인다. 현 정부는 지난 4년간 국민이 알고 싶어 하는 많은 정보를 비공개로 돌리고 은폐하면서 동시에 최대한 기록물을 줄이고 있었던 것이다. 촛불시위를 부른 쇠고기 협상의 내용, 국론을 나눈 한미FTA의 과정, 심지어는 46명의 목숨을 앗아간 천안함 사건까지 각계의 정보공개 요구를 묵살하며, 합리적 의심과 문제제기를 사법처리로 대응하여 왔다.

노무현 정부 이전까지만 해도 역대 정권은 정치적 공격을 대비해 자료를 후대 정권에 잘 남겨주지 않았다. 이승만에서 김대중까지 대통령이 남긴 기록의 양은 33만여 건이지만, 노무현 정부가 남긴 대통령기록은 825만여 건에 달한다. 그래서, 최대한 기록을 남기고 보호하도록 대통령기록물관리법이 공개에 대해 그토록 까다로운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이제 그토록 지난 정권 탓을 하던 이명박 정부도 자신의 기록물을 후대에 물려줄 때가 다가오고 있다. 국민들은 지지난 정권이 아니라 지난 정권이 될 이명박 정부가 남길 기록물을 얼마나 무엇을 어떻게 남길지 지켜보고 있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