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민주광장에서 성황리에 개최된 국제학생축제(ISF)를 두고 뒷말이 나왔다. 각 국가, 지역별 부스를 설치하는 식으로 진행된 이번 행사에서 티베트와 인도 공동부스가 논란이 됐다. 해당 부스 현수막에 티베트 망명정부 기(旗)가 인도 국기와 나란히 걸려 마치 티베트를 인도와 같은 주권국가로 인정하는 것처럼 비춰진 것이다.

  학내 중국 유학생들의 반발에서 시작된 것이 국제적인 논란으로 커진 모양새다. 중국 SNS 웨이보에 해당 부스를 찍은 사진이 공유되며 중국 네티즌들의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15일에는 주한 중국대사관 측이 학교본부를 방문하기도 했다.

  세계 최대의 다민족 국가인 중국은 소수민족의 분리주의 운동에 상당히 민감하다. 티베트, 위구르와 같은 대표적인 분리독립 투쟁지역에서는 폭력사태가 빈번하게 터진다. 더군다나 1959년 티베트에서 대규모 반중(反中) 폭동이 발생한 이후, 달라이 라마를 중심으로 한 티베트 망명정부는 인도로 옮겨 현재까지 자치운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티베트 문제로 중국과 인도 간의 외교적 마찰도 여러 차례 있었다. 중국 내의 역사적, 정치적 맥락이 복잡하게 얽혀있어 단순히 민주주의와 인권 차원에서만 바라볼 수 없는 문제다.

  이번 행사를 주최한 본교 교환학생 교류회(KUBA) 측은 “해당 사안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었지만, 티베트 출신 학생들의 의견을 정치적인 이유로 막는 것에 문제가 있다고 봤다”고 전했다. 물론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축제를 통해 다양한 의사와 정체성을 표현할 자유가 당연한 것이다. 이를 타국에서 간섭할 권리는 없다. KUBA 측도 사전에 이 정도로 논란이 커질 줄은 예상치 못했던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국제정치는 그 이상의 냉철한 현실인식과 다양한 역사·문화에 대한 신중한 이해를 요구한다. ‘디테일의 악마’가 부를 파장을 늘 고려해야한다. 학내 외국인 학생들의 숫자가 상당한 만큼 비슷한 논란이 또 발생할 수 있다. 이번 사건이 글로벌 시대 속의 본교 학생사회가 국제사회에 대한 인식을 더 넓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